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균형잡힌영양설계
균형잡힌영양설계

나이가 들어갈수록 주파수가 높은 소리를 듣디 못한다는데 그 이유가 뭔가요?

나이가 들수록 고주파의 소리를 듣지 못한다고 하더군요.

실제로 어떤 실험에서도 어린 친구는 들린다는 소리를 못 드는 경우도 있구요.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것은 어떤 이유 때문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귀의 달팽이관에 있는 청각 세포가 나이가 들면서 점차 손상되거나 죽게 됩니다. 고주파 소리는 이러한 세포가 주로 감지하는 주파수대이기 때문에, 이 세포의 수가 줄어들면 고주파 소리를 듣기 어려워집니다.

    청각 신경이 노화하면서 신호 전달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소리의 인식이 감소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고주파 소리를 듣지 못하는 현상은 나이가 들면서 청각 세포가 손상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개인의 유전적 요인이나 환경적 요인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나이가 들수록 고주파 소리를 잘 듣지 못하는 이유는 노화에 따른 청력 손실, 즉 '노인성 난청' 때문입니다. 귀 안의 달팽이관에 있는 유모세포가 고주파 소리를 감지하는데, 이 세포들은 나이가 들면서 점차 손상되거나 감소하게 됩니다. 특히 고주파수를 감지하는 유모세포가 먼저 손상되기 때문에 고주파 소리를 먼저 잘 듣지 못하게 됩니다. 이러한 손상은 일상적인 소음 노출, 유전적 요인, 혈액 순환 문제 등으로 더욱 촉진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귀 안의 달팽이관에는 소리를 감지하는 모세포가 있는데, 이 세포들은 나이가 들면서 손상되거나 죽게 됩니다. 특히 고주파 소리는 낮은 주파수 소리보다 더 쉽게 손상되기 때문에, 나이가 많을수록 고주파 소리를 듣기 어려워집니다.

  • 나이가 들면서 고주파 소리를 잘 못 듣는 이유는 귀의 구조물 중 하나인 달팽이관의 변화 때문입니다.

    달팽이관은 소리의 진동을 전기 신호로 바꿔 뇌로 전달하는 기관인데, 달팽이관 안에는 유모세포라고 불리는 미세한 털들이 촘촘하게 나 있고 이 털들이 소리의 진동을 감지하고 신경 신호를 발생시킵니다.

    고주파 소리는 달팽이관 입구 부근에 있는 유모세포를 자극하게 되는데 나이가 들면서 이 부분의 유모세포가 손상되거나 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고주파 소리를 잘 못 듣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온 전문가입니다.

    나이가 들수록 귀 속의 유모세포가 손상되면서 고주파 소리를 듣는 능력이 떨어집니다. 특히, 고주파수 소리는 귀 안쪽의 세포에 먼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나이가 들수록 먼저 손상되죠. 이런 현상을 노화성 난청이라고 하는데, 이건 자연스러운 노화 과정 중 하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나이가 들면서 큰 소리를 많이 듣게 되면 달팽이관 입구의 신경세포가 손상되어 고주파음을 듣지 못 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