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주식 투자에 PER이 큰 의미가 있나요?
굉장한 상승 주가를 달리는 주식을 보면 PER이 굉장히 높습니다. 꾸준히 고 PER을 유지하는 주식들도 많은데 최근 주식 투자에 PER이 큰 의미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PER에 의미가 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PER란 주가수익비율 (Price Earning Ratio) 의 약자입니다.
이는 기업의 주가가 1주당 순이익의 몇 배로 평가되는 지를 보여주는 것이기에
PER를 통해서 기업 주가의 저평가, 고평가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per의 경우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누는 것으로 이는 per이 1인 것을 기준으로 하여 1보다 높다고 한다면 고평가가 이루어진 것의고, per이 1보다 낮으면 시장에서의 평가가 낮은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고평가가 된것은 주가에 거품이 낀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것이 고평가가 되면 그만큼의 가치를 인정받은 것, 1보다 낮으면 저평가가 된것이므로 사람들의 관심을 받지 않은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PER과 같은 경우에도 어느정도
동종업게의 기업들과 비교를 할 수 있는 등
어느정도 유의미한 지표라고 볼 여지도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과거에는 PER이 기업가치 판단의 핵심이었지만 성장주, 혁신기업은 미래 가치를 반영해 PER이 높게 유지되기도 합니다. 단기적으론 의미가 줄었지만 장기투자에서는 여전히 벨류에이션 참고 지표로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테마주나 네러티브로 올라가는 주식은 PER로 보시면 안됩니다 이런 주식은 트레이딩과 재료에 입각한 형태로 올라가기 때문입니다
주가수익비율 PER은 보통 모멘텀을 받고 올라가는 시기엔 항상 평균PER보다 더 올라가기 마련이었으며 다만 과열되면 결국 조정되는 흐름으로 나왔기 때문에 그냥 고평가여부를 판단하는용도로 봐야지 이를 주가상승하는 핵심 요인으로 단기적으로 판단하시면 크게 낭패봅니다. 그리고 PER은 매출성장율이 증가하거나 가이던스 전망치가 올라가거나 새로운 신산업의 매출성장성이 눈에띄게 되면 PER는 언제든 리레이팅되며 유동성이 증가하게 되더라도 PER 배수는 올라갑니다 즉 이런 여러 변수조건까지 고려해야하므로 단순히 과거의 평균 PER밴드를 보고 기계적으로 하게 되면 크게 오판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사실 성장주에서 PER 은 크게 의미는 없는거 같습니다 성장 가능성에 투자하는거지 현재 돈을 얼마나 버는지는 성장성보다 중요도가 덜하거든요 실제로 매출이 미비한 기업도 많고 적자기업도 수두룩하죠
가치투자주나 배당주 같은거 투자할때나 PER 고려 해보는게 맞긴 할거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주식 투자 환경에서도 PER(주가수익비율)은 여전히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PER은 주가 대비 순이익 비율을 나타내어 기업의 수익성 대비 주가 수준을 평가하는데 활용됩니다. 다만, 경기 변동성, 금리 변화, 산업 구조 변화 등으로 PER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며, 기술주 등 고성장 기업에서는 높은 PER이 당연시되는 경우도 있어서 다른 재무 지표와 함께 종합적으로 분석되는 것이 중요합니다. 최근에는 성장성, 현금흐름, 시장 환경 변화 등을 고려해 PER 외의 다양한 지표들도 병행해 투자 판단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PER을 보고 투자하는 투자자는 가치투자자로 불리웁니다
즉 저 PER주식을 매매하여 가치가 낮은 종목을 매매하고 더 시세가 상승하기를
기대하는 투자 방식을 말합니다.
따라서 어떤 가치를 지향하는지에 따라서 PER이라는 지표는 상당히 중요한 지표를
차지할 수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PER은 여전히 기업가치 평가의 기본 지표지만 최근 시장에서는 절대적 기준으로 보는 것 보다는 참고 지표로 보는 경향이 강합니다. 성장주, 혁신주는 미래 성장성을 반영해 PER이 높게 형성되어도 투자자들이 수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테슬라, 엔비디아 같은 종목은 고PER을 장기간 유지 하였습니다.반면 경기민감주나 가치주는 여전히 낮은 PER이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될 것 입니다.
즉 최근 투자에서는 PER만으로 단정 짓기보다는 성장성, 산업 트랜드 그리고 경쟁력과 현금흐름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더 중요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PER이라는 게 한때는 주식 가치 판단의 기본 공식처럼 여겨졌는데 요즘은 좀 다르게 보는 분위기가 많습니다. 특히 기술주나 성장주처럼 미래 가능성에 돈이 몰리는 종목들은 PER이 터무니없이 높아도 사람들이 계속 사거든요. 그렇다고 PER이 쓸모없다는 건 아니고 업종별로 평균이랑 비교해 보면 여전히 참고할 만합니다. 다만 지금은 시장이 단기적인 성장성이나 스토리에 더 반응하는 편이라 PER만 보고 싸다 비싸다 말하기는 힘든 상황입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PER은 그냥 숫자 하나일 뿐이고 그 회사가 앞으로 어떤 성장을 보여줄지가 더 크게 작용한다고 느껴집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 투자에 있어서 단순하게 PER만 보고는 투자하면 안되고, 여러 다양한 지표와 함께 PER도 참고할 수 있기에 당연히 의미가 있는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