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밝은콰가293
밝은콰가293

국내 레버리지 ETF 세금에 관한 질문

현재 이차전지 레버리지 etf에 투자 중입니다. 국내에 상장된 이차전지 레버리지 etf는 2개 입니다. 삼성증권에서 상장한 Kodex 2차전지산업 레버리지와 미래에셋증권에서 상장한 TIGER 2차전지TOP10 레버리지입니다. 둘 다 투자 중인 상태입니다.

국내 ETF 같은 경우 세금을 안 매기지만, 선물이나 채권 등의 ETF는 기타 ETF가 되어서 15.4% 세금을 매기는걸로 압니다. 레버리지 ETF도 기타 ETF에 포함되기에 15.4%의 세금을 매깁니다. 근데, 미래에셋에서 상장한 ETF같은 경우 장외상품인 스와프 등을 ETF상품에 포함시키지 않아 매매차익 15.4%에 대해서는 자유롭다고 합니다. 정말 이게 사실인가요? 뉴스 기사를 찾아봐도 실제 과세 부담이 없다고 하는데, 마케팅인지 아니면 실제로 과세 부담이 없는건지 헷갈려서 질문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윤민선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 투자자들 사이에서 이차전지 산업에 대한 관심은 여전히 뜨겁습니다.

    특히 , 상승장에서 수익률을 극대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레버리지 ETF가 각광받고 있습니다.

    현재 국내에 상장된 이차전지 레버리지 ETF는 두가지로 , 삼성자산운용의 ' KODEX 2차전지산업 레버리지 ' 와 미래에셋자산운용의 ' TIGER 2차전지 TOP10 레버리지 ' 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 두 상품의 세금 구조는 미묘한 차이를 가지고 있어 투자자들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국내 상장 ETF는 매매차익에 대해 비과세지만 , ' 기타 ETF ' 로 분류되는 상품 ㅡ 즉 , 파생상품 ( 선물 , 스와프 등 ) 을 100% 포함한 ETF ㅡ 은 예외적으로 매매차익에 대해 15.4%의 세율로 과세됩니다.

    이때문에 많은 투자자들은 레버리지 ETF 역시 기타 ETF로 분류되어 세금 부담이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실제로 삼성의 KODEX 레버리지 상품은 장내 선물을 활용한 구조이기 때문에 기타 ETF로 분류되어 매매차익에 대해 과세됩니다.

    반면 , 미래에셋의 TIGER 2차전지 TOP10 레버리지는 특이하게도 파생상품이 아닌 현물 ETF만을 활용하여 2배 수익율을 추구하는 구조를 채택했습니다.

    즉 , 스와프나 선물 등의 장외 파생상품을 포함하지 않아 기타 ETF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이에 따라 해당 상품은 매매차익에 대해 과세되지 않으며 , 배당소득 ( 예 : 분배금 ) 만 15.4% 의 세율로 과세됩니다.

    이러한 구조는 단순한 마케팅이 아니라 실제 세법상 분류와 과세 기준에 근거한 것입니다.

    실제로 국세청의 과세기준 및 금융투자협회 자료에서도 이 같은 구조에 대한 설명이 확인됩니다.

    따라서 미래에셋의 레버리지 ETF 가 매매차익 비과세라는 점은 ' 마케팅용 수사 ' 가 아니라 실제로 반영된 세제 혜택입니다.

    결론적으로 , 동일한 테마의 레버리지 ETF라도 운용 방식과 자산 구성에 따라 과세 구조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투자자는 단순히 수익율만 볼 것이 아니라 , 상품의 운용방식과 세금 구조까지 고려한 현명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재부가 국내 상장 해외 주식형 ETF를 과세 대상에 포함했기 때문에 미래에셋에서는 정부에서 놓친 부분을 파고들어 상품을 내놓았습니다. 상품의 기초자산을 끝까지 따라가 보면 나스닥100이지만, 나스닥100선물을 국내에서 지수화하고 이걸 바탕으로 ETF를 만들어 국내 선물을 기초로 한 상품이 된 것이기에 기재부는 결국 세법까지 개정하며 자산운용사에 다시는 같은 시도를 하지 말라는 경고를 날렸지만 상품을 출시한 것입니다. 물론 비과세는 아니고 괴리율에서 우위를 점하는 상품으로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