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탁월한태양새285
탁월한태양새28523.05.03

오랑캐에 대한 인식이 안 좋은 이유는 뭘까요?

안녕하세요.

한국사에 대한 내용을 보면 북방민족을 오랑캐라고 하면서

오랑캐에 대한 인식이 상당히 안 좋던데

인식이 왜 나쁜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오랑캐란 야만적인 종족이라는 뜻으로 미개한 종족들을 오랑캐라고 불렀던 것이

    북방 민족의 보통명사가 되었습니다.

    야만적인 침략자를 흔히 ‘오랑캐’라고 부르면서,

    ‘중공 오랑캐’, ‘일본 오랑캐’, ‘서양 오랑캐’ 라고 부르기도 했습니다.

    옛 문헌에 ‘오랑캐’란 말은 여진의 한 종족 이름으로 우디허 족을 말합니다.

    그들이 살던 곳은 흑룡강 일대의 깊은 삼림지역이었고, 수렵생활을 하였으며,

    그들 여진족은 미개하고 침략과 약탈을 일삼는 종족이며,

    주변의 여러 지역에 대한 약탈을 일삼는다는 기록으로

    매우 불편한 관계의 종족들을 일컫는 단어가 되었습니다.

    조선왕조 실록 등에, ‘올량합’, ‘알랑개’, ‘올적합’ 등 여러 기록이 나오는데

    모두 오랑캐를 음으로 전사하여 표기한 말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오랑캐는 몽골계 종족인 우량카이족에서 유래한 이민족을 말하는 이름인데, 이는 우리 민족이 아닌 외국인들을 비하하는 명칭이 현대에도 사용되는 현실에 비추어보면 당시에도 그러한 비하의도가 담긴 이름들이 많았을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세 몽골어로 삼림민을 뜻하는 우량카이(Uriankhai)에서 유래했는데 중세 몽골인들이 투바인들을 비하할 때 쓰이던 말이기도 하였다. 특히 원나라 때 중국 문화를 받아들여 중원으로 이주한 일부 몽골족은 중원으로 이주하지 않고 여전히 초원이나 사막에서 유목생활을 하는 몽골족들과 다른 유목민들을 야만족으로 여기며 멸시했을 것으로 보인다.

    -출처:나무위키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화란 용어는 기본적으로 중화와 오랑캐를 구분하는 개념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이러한 관념은 중국의 고대부터 존재해 왔습니다. 중화는 보통 지역적 개념과 종족⋅혈통적 개념, 문화적 개념의 세 가지 관점에 따라 설명되어 왔습니다. 이 중 중화를 설명할 때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문화적 요소를 가장 중요하게 취급하고 있습니다.


    소중화란 용어는 본래 조선에서 먼저 언급한 것이 아니라 중국에서 한반도 국가의 문화 수준을 높게 평가하면서 중화 문명에 비슷하다는 의미로 사용했습니다. 따라서 소중화의 의미에는 기본적으로 중화와 비슷한 수준의 문화를 가지고 있는 발전된 국가라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조선은 건국 직후부터 명 중심의 중화 질서를 인정하면서 국제 관계를 정리했습니다. 하지만 임진왜란과 정묘⋅병자호란 등을 경험하고 명청 교체기를 지켜보면서 동아시아 국제 관계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필요했습니다. 당시 조선이 취할 수 있는 입장은 두 가지였는데, 하나는 명의 회복을 기원하는 것이었고 다른 하나는 새로운 중화 질서를 따르는 것이었습니다. 결국 조선은 명의 멸망 이후 조선이 오랑캐였던 청을 대신해서 중화의 적통을 계승했다는 의식을 스스로 가지게 되었습니다. 일부 연구자들은 이런 상황에서 조선이 유일한 중화 문명의 보유국임을 강조하는 것을 ‘조선 중화 의식’으로 설명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