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도어락이 어디서 들어온건가요.
안녕하세요.붉은날다람쥐293 근희입니다. 우리나라 도어락이 최초인가요. 아님
다른나라에서 들어왔나요. 궁금하여 문의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
우리나라에서 도어락을 최초로 개발한 것은 아니며, 외국에서 들어온 것입니다.
국내 도어락의 역사는 1970년대부터 시작되었습니다. 1970년대 초 '스타 게이트'라는 회사에서 호텔락을 개발, 판매한 것이 그 시초이며,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게이트맨'이라는 브랜드가 처음으로 디지털 도어락을 개발하였습니다. 이후에는 삼성SDS, LG전자, 혜강씨큐리티, 에버넷, 코맥스 등의 기업들이 디지털 도어락을 출시하면서 현재까지 발전해 왔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디지털 도어락은 전 세계에서 대한민국이 최초로 만들어 상용화시킨 제품으로 현재 국내 보급률은 80%를 넘어 이제 국내에서는 각 가정의 필수품이 됐습니다. 해외의 경우, 중국의 보급률은 10%가 넘지 않고 있으며, 미국, 유럽의 경우에는 이제 보급률이 2% 이내에 불과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도어락은 전 세계에서 대한민국이 최초로 만들어 상용화 시킨 제품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도어락 국내 보급률이 80%를 넘어가고 있습니다.
해외의 경우 중국은 10% 보급률에 머무르며, 미국, 유럽 2% 이내 머무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도어락 주요 브랜드로는 게이트맨, 직방 스마트홈, 에버넷, 솔리티, 밀레시스텍, 유니코하이테크, 코맥스, 빌드원, HDC아이콘트롤스 베스틴 등이 있다고 합니다.
디지털 도어락의 최초 보급은 게이트맨이라는 브랜드로 유명한 아이레보 창립자인 하재홍이 게이트맨1이라는 제품을 개발하면서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출시 직후에는 디지털 도어락이 생소하여 그때 당시까진 열쇠 비율이 높았지만 2000년대 초 김세아, 염정아를 광고모델로 기용하는 등 성공적인 마케팅을 이루었고 2005년 게이트맨은 지문인식, RF카드, e게이트맨 같은 획기적인 제품들을 출시하면서 2006년부터 열쇠에서 번호키로 전환하는 사람들이 늘기 시작했고 이 때문에 '디지털 도어락은 당연히 게이트맨'이라는 이미지가 굳게 박히기 시작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