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부동산

진지한석화구이
진지한석화구이

전세낀 아파트 매매시 계약금, 중도금, 잔금 계산방법 질문드려요.

부동산 전문가님들께 문의드립니다.

현재 1주택을 공동명의로 보유 중입니다. 아이들 교육때문에 희망하는 곳으로 우선 갭투자 후 월세로 거주하려고 합니다.

​자금 계획을 짜고 있는 중 현금 조달이 가능한지 계산 중에 있습니다.

예를들어, 매수 희망하는 곳 아파트가 10억 중 4억 전세가 있을시 중도금 금액이 궁금합니다. 여기저기 보니 계약금은 매매가의 10%인것 같습니다.


1.계약금 : 1억


2.중도금을 40%로 정할시 기준이 되는 금액은?


1) 매매가 40% : 4억

2)(매매가-전세가)40% : 2.4억?


3.잔금은?


1) 1억

2) 2.6억



물론 매도자, 매수자 계약에 따라 여러가지 금액으로 계약이 가능하지만 일반적인 전세낀 매물 중도금 금액 문의 드립니다.

전문가님들의 경험이 절실한 부린이에게 소중한 경험 공유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일반적인 주택매매에서 중도금까지는 포함하지 않고 계약금, 잔금형태로 진행하게 됩니다. 질문처럼 중도금을 산정할 경우라면 중도금 비율은 합의하에 조절이 가능하고 거래금액이 10억이라면 게약금 10% 중도금 40% 잔금 50%이라면 계약금 1억, 중도금 4억 잔금1억으로 기재하는게 맞을 듯 보입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윤민구 공인중개사입니다.

    계약금 중도금의 합이 매매가를 넘어가거나 근접하면 중도금을 줄이던 중도금 없이 바로 잔금으로 갈수도 있습니다.

    40% 라고 정해진건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강애 공인중개사입니다.

    매매대금의 10%는 계약금, 중도금은 50~60%, 남은 금액은 잔금으로 처리합니다.

    세입자가 거주중이면 세입자의 보증금액은 중도금으로 처리하기도 합니다.

    중도금을 40%로 하면 실제로 지불할 중도금은 없습니다.

    매매대금 10억 ㅡ(계약금 1억 +중도금 전세금액 4억 +2억 중도금 +잔금 3억 )

    위의 금액은 예시금액입니다. 계약금,중도금 잔금액은 매도자와 매수자가 협의하여 금액을 정합니다.

  •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행정사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겟습니다. 매매대금이 10억원이고 이 중 전세보증금이 4억이라면 잔액은 6억원이 남아 있는 상태입니다. 따라사 현실적으로 남아 있는 금액이 6억원인 만큼 6억원을 기준으로 계약금 10%, 중도금 40%, 잔금 순으로 지정해야 합니다. 기타 사항은 매도인과 협의후 해결해야 하는 사항입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계약금 전세금이 합쳐서 5억이면 중도금은 3억 정도 요구할수 있는데 중도금은 협의로 결정이 됩니다

    매수인이 돈이 부족히면 그에 맞게 결정이 될수도 있습니다

    협의잘하셔서 매수잘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갭투자시 전세세입자의 보증금이 4억이 있는경우

    계약금1억 , 보통갭투자의경우 중도금 생략이 일반적이고 아닌경우 협의에 의해 결정 , 잔금은 나머지 금액 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공인중개사입니다.

    계약금은 일반적으로 10%로 하지만 이것도 협의에 의해 정할 수 있습니다.

    당연히 중도금도 협의에 의해 정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30%정도를 가장 선호하십니다.

    그리고 매매계약이므로 당연히 매매가의 30%겠지요? 하지만 전세를 끼게 되면 잔금보다 중도금이 더 많아 지는 일이 생기므로 중도금을 조절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게약금1억, 중도금 2억, 잔금 3억하면 되겠네요.

    만약 게약일과 잔금일이 짧을 경우 중도금은 생략할 수도 있습니다.

    도움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