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두돌이 다되었는데 말이늦져요
23개월이되었는데 산만하고
말을 엄마 아빠 밖에못하고
단어를 빨강색하면 가르치기는하는데
빠~ 이정도밖에못해요
너무늦은것 아닌가요
-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아이의 언어발달이 지연되고 있어 걱정이 되겠습니다. - 보통 생후 12개월 정도에 한 단어를 말하고 - 그 이후 18개월까지 두 단어를 결합해서 말한다고 합니다 . - 하지만 아이들의 발달에는 개인차가 있기 마련입니다. - 일상생활에서 꾸준히 언어적 자극(책읽어주기, 아이와 대화하기, 동요 들려주기)을 주고 격려하며 기다려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 아이는 돌이 지나면서 엄마 아빠를 원본격적으로 말하기 시작하고 그 이후에 단어들의 급격하게 많이 습득하게 됩니다. 그리고 나서 두 돌이 되었을 때 이제 단어들을 간단히 조합해서 문장을 말하기 시작하는데요. 다른 아이들보다 조금 늦다는 생각이 드실 수 있지만 언어가 폭파 적으로 늘어나는 시기가 있기 때문에 조금만 더 기다려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인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단어두개를 이어서 말할만한 나이인데 통상적으로 - 일반적이기때문에 개인차가 있어서 좀더 기다려보심이 좋을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 - 아기들이 말하는 시기 즉 말이 트이는 시기는 빠르면 15개월에서 23개월 까지라고 하고 이 시기가 아기의 언어 이해력이 발달하는 속도가 빨라지는 시기하고 합니다. 아이가 말할 수 있는 단어는 몇개 없지만 눈,코,입이 어딘인 줄 알고 있고 말귀를 다 알아들으면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합니다. 말을 하지 않는 게 아이의 성격일 수도 있다고 합니다. 말귀를 다 알아듣고 몸짓이나 표정으로 반응한다면 가정에서 자극을 주고 격려하면 조만간 말문이 트일 수 있으므로 아이의 감정과 행동에 크고 구체적으로 반응해주고 소통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아이의 언어는 개인차가 있습니다. - 빠른 아이가 있는가 하면 느린 아이들도 있지요. - 우선은 아이의 언어자극을 도와주기 위해서는 아이와 대화하는 시간을 많이 가져야 합니다, - 아이에게 말을 자주 걸어주시고 아이에게 질문을 해주시고 아이가 답을 하도록 유도해 주세요, - 그리고 책을 많이 읽어주시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 자연성숙에 의해서 말이 트일 때 까지 최소한 생후 48개월 까지 기다려 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24개월 아이들은 몇 십 개의 단어를 이야기할 수 있고 두 단어를 이용해서 짧은 문장을 이야기하는데 아이에게 동화책을 읽어주고 입 모양을 보면서 이야기를 해주어 지속적으로 언어적인 자극을 주되 말이 계속 늦은 경우에는 언어발달 치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아이마다 발달이 다르니 말이 빠르거나 늦을 수 있답니다. - 18개월 정도 시기가 되면 간단한 문장은 할 수 있답니다 - 아이가 말을 빨리 배울 수 있도록 아이와 자주 소통하고, 계속해서 말을 시켜야 할 것 같습니다 - 또한 발달 단계보다 너무 느리다고 느끼시면 언어 치료센터에서 상담을 해 보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아이들마다 발달 개인차가 있어서, 언어는 편차가 크답니다. - 아이에게 자주 말을 걸어 주세요 - 아이 혼자 놀게 하지 마시고, 항상 부모가 아이와 같이 놀면서 상호작용을 열심히 해주셔야 말이 빨리 틔일 것입니다. - 그리고 책을 자주 읽어 주는 것도 언어력 발달에 도움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