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대EU 수출 감소, 한국과의 무역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브렉시트 이후 영국의 대EU 수출이 감소하고 있다는데, 이러한 상황이 한국과 영국 간 무역 관계에 어떤 영향을 줄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 한국의 업체들에는 큰 타격이 없으나, 영국을 거점으로 추가가공 등을 하던 제조업들에게는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과거와 달리 영국이 EU에서 탈퇴를 하면서, 영국, EU 간에도 수출입신고가 필요해졌고 TCA라는 별도 협정이 발효되었기 때문입니다. 다만 이러한 형태를 가진 기업들이 거의 없기에 이러한 손해는 제한적일 것이라고 판단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브렉시트 이후 영국의 대EU 수출이 감소하면서 영국은 비EU 국가들과의 교역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한국에게 영국 시장에서의 기회를 확대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자동차, 전자제품, 화학제품 등 한국의 주요 수출 품목에서 경쟁력을 강화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단기적으로는 영국 경제의 불확실서으로 인해 한국의 대영 수출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영국과 EU 간의 무역협정 부재로 인한 관세 부과 가능성은 한국 기업들에게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한국 기업들은 영국 시장의 변화를 주시하며 유연한 수출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브렉시트 이후 영국의 대EU 수출이 감소하면서 한국과 영국 간 무역 관계에도 변화가 예상됩니다. 영국은 EU 시장에서의 경쟁력이 약화된 만큼 새로운 무역 파트너를 적극 모색하고 있으며, 한국과의 경제 협력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자동차, 배터리, 제약, 금융 등 다양한 산업에서 협력 기회가 확대될 가능성이 큽니다.
하지만 영국의 무역 정책이 독자적으로 변화하면서 통관 절차나 규제 환경이 달라질 수 있어 이에 대한 대비도 필요합니다. 이러한 변화를 기회로 활용하려면 양국 간 협정을 기반으로 안정적인 교역 환경을 조성하고, 기업들이 새로운 시장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이 중요합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무관세·무쿼터 협정에도 불구하고 브렉시트로 인해 영국과 EU 간 통관절차가 재개되면서 영국의 대EU 교역은 비EU 지역과의 교역에 비해 쇠퇴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영국의 대외교역에서 EU의 비중이 감소하였고 주요 교역대상국 순위도 변동하고 품목별로는 소비재의 대 EU 교역이 가장 큰 영향을 받았는데, 특히 중소기업의 수출 비중이 높은 섬유류·생활용품·전기전자의 타격이 큰 것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브렉시트 이후, 영국의 대EU 수출이 감소하면서 한국과 영국 간의 무역 관계에도 변화가 예상됩니다. 영국의 EU 수출 감소는 비EU 국가와의 교역 확대를 촉진할 수 있으며, 이는 한국 기업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특히, 영국 시장에서 EU 기업들과의 경쟁이 완화될 수 있어 한국 기업들의 시장 진입이 수월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영국의 무역 정책 변화와 비관세 장벽 등 새로운 무역 환경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대응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