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이 호르무즈 해상을 봉쇄한다고 하는데요 우리나라 석유나 천연가스 비축량은 어느정도 인가요
우리나라 같은 경우에는 석유가 한방울도 나지 않는 나라인데요 그래서 중동 사태에
경제가 흔들리고 있는것 같아요 우리나라에서 석유 비축량과 천연가스 비축량은
어느정도 인가요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천연가스나 석유 매장량이 없는 상태나 마찬가지입니다. 이에 한국석유공사는 약 99백만 배럴 정도의 석유를 비축중입니다. 민간 정유사들도 판매를 대비하기 위해서 약 40~60일분의 석유를 비축하게 됩니다.
1명 평가호르. 해협 봉쇄시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1)에너지 수급 위기; 우리나라는 원유의 70%, LNG의 40%를 중동에서 수입하고 99%가 호르무즈해협을 경유합니다.
봉쇄시 공급차질이 당연하고 비축유로 단기(200일)대응은 가능하나 장기화시 위기가 예상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 정부가 보유한 석유 지축량이 약 9600만 배럴로, 국내 소비 기준으로 약 4개월 분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민간 비축을 포함하면 실제 비축 가능일수는 더 높아질 수 있습니다. 천연가스는 한국가스공사가 평시 9일분을 비축하고 있습니다. 이란의 호르무즈 해협 봉쇄 시 석유는 비축량으로 일정 기간 버틸 수 있으나, 천연가스는 상대적으로 비축기간이 짧아 추가 수급 차질이 우려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원유 비축량은400만 배럴 정도로 집계되며, 이는 원유 수입이 중단되어도 160~210일 정도 여유량이라고 합니다. 호르무즈 해협이 봉쇄되더라도 우회해서 수급받을수 있어 원가상승에 영향있을뿐 당장 에너지 문제가 심각하진 않을것이라 예상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정부는 약 9850배럴을 국가 비축유로 보유중입니다. 민간까지 포함하면 약 1억 4600만 배럴이며 이는 160~200일분 유류 확보 상태입니다. 천연가스는 9일치 의무 비축량을 보유하고 있는 수준이며 민간을 포함한다고 해더라도 9~30일치 수준에 불과 합니다.
우리나라의 석유 비축량은 정부 및 국제 공동 비축: 약 99 백만 배럴 (2025년 3월 기준)산업체 의무 비축분 포함 전체 저장 능력은 약 286 백만 배럴,이 중 정부 비축은 약 146 백만 배럴, 산업체 비축은 약 140 백만 배럴 규모.이 양은 우리나라 하루 석유 순수입량 기준으로 약 160~240일분에 해당한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의 석유 비축량에 대한 내용입니다.
정부는 특정 수량 이상의 비축유를 갖고 있는데
대략 10,000만 배럴 수준으로
이는 약 111일간 사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2025년 3월 말 기준 9개 비축기지를 운영 중에 있으며 총 146백만 배럴 규모의 비축시설과 99백만 배럴(공동비축물량 제외)의 비축유를 보유하고 있는데, 약 202일치 이상의 보유량이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석유 비축은 한국석유공상에서 시행하고 있으며, 2024년 12월 기준 115일분의 석유가 비축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정부는 공공 비축을 하고 있으며, 업계에서는 의무적으로 비축을 해야 하는 기준이 있습니다. 이러한 기준을 적용한다면 약 6개월 분량인 200일 치를 비축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중동의 리스크가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6개월 치의 사전 보유량이 있어, 급한 위험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다만 석유의 많은 비축량에 비해 천연가스의 비축량은 상대적으로 적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에 대한 정책적인 의결은 필요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생각이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