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청렴한치타291
청렴한치타291

돼지가 하늘을 못본다는 내용을 영화에서 봤는데 맞나요?

영화에 무슨

풍자하는 부분인 지

정확한 제목은 기억안나는데요

돼지가 즐겁게 뛰는 장면이 나오는데

돼지는 하늘을 볼 수 없기때문에

위에 뭐를 달았다 는 내용에서..

돼지가 하늘을 못본다는게 사실인가요?

하늘 볼라면

머리를 살짝만 들어도 하늘을 볼 수 있는데

하늘을 볼수없다는 말은

목뼈 구조가 아예

밑으로만 움직이게 되어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돼지가 하늘을 볼 수 없다는 말이 생긴 이유는 그들의 목이 상대적으로 짧고 굵으며 눈은 얼굴의 측면에 위치해있기 때문에 생긴 일반적인 오해에서 비롯된 것 입니다. 돼지는 사실 머리를 들어 올려 주변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돼지의 목 구조와 눈의 위치는 하늘을 보는 것보다는 주로 지면에 더 가깝게 위치한 먹이나 주변 환경을 보는데 더 최적화되어 있을 뿐입니다.

  • 네, 돼지가 하늘을 보지 못하는 것은 사실입니다.

    돼지의 해부학적 구조와 진화적 적응 때문에 돼지는 고개를 들어 하늘을 볼 수 없습니다.

    돼지의 뒤통수 부분은 척추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목을 크게 올릴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또한, 돼지는 주로 땅을 파는 굴토성 동물이기 때문에, 하늘을 볼 필요가 없어 이러한 신체 구조가 발달한 것이죠.

    하지만, 돼지가 누워있을 때는 자연스럽게 눈이 하늘을 향할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하늘을 볼 수 있을겁니다.

    그러나 실제로 실험을 통해 돼지가 먹이를 위로 올려놓아도 고개를 들 수 있는 한계가 있음을 확인되었죠.

    따라서 서 있는 자세에서는 하늘을 볼 수 없지만, 누워 있는 자세에서는 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 돼지는 눈을 위로 올려 뜬다고 해도 하늘을 볼 수 없다고 하는데요, 이는 돼지가 굴토성 동물이기 때문입니다. 굴토성 동물이란 주둥이나 앞발로 땅을 파는 습성이 있다는 의미인데요, 이로 인해 체형이 고개를 숙이는 쪽으로 진화가 됐고 오늘날에 이르게 됐다고 합니다. 돼지의 후두관절은 경추와 연결되어 있는데요, 뒤통수가 척추와 붙어있기 때문에 20번 후두관절 융기와 23번 관절융기가 1번 경추와 2번 경추에 맞닿아 있는 형태입니다. 따라서 이 뼈들이 돼지가 목을 올리는 것을 직접적으로 방해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예전에 유명 TV프로에서도 관련한 내용을 방송한 적이 있습니다.

    돼지의 목뼈와 근육구조상 머리를 꺽어올려 하늘을 올려보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돼지의 후두부의 관절이 경추와 연결되어있는데 이는 뒷통수에 척추가 연결된 구조로 볼 수 있습니다.

    이런 구조로 인해 목을 뒤로 꺽는것이 불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돼지가 하늘을 못 보는 이유는 해부학적 구조 때문입니다. 주둥이나 앞발로 땅을 파는 습성이 있어서 체형이 고개를 숙이는 방향으로 진화를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귀하께서 본 영화의 내용은 과장된 것으로 보입니다. 돼지는 목 구조상 일반적으로 하늘을 바라보기 어려운 것은 사실이지만, 완전히 하늘을 못 본다는 말은 사실과 다릅니다.

    돼지의 목뼈 구조는 앞쪽으로 구부러져 있어 정상적인 자세에서는 하늘을 쳐다보기 힘듭니다. 하지만 머리를 들거나 고개를 약간만 젖히면 충분히 하늘을 바라볼 수 있습니다. 영화에서는 이런 특성을 과장하여 돼지가 아예 하늘을 못 본다고 표현한 것 같습니다.

    돼지의 이런 목 구조는 지면을 향해 내려앉은 채 먹이를 먹는 데 적합하게 진화한 결과입니다. 따라서 돼지가 정상 자세에서 하늘을 쳐다보는 것은 힘들지만, 완전히 불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영화는 이 부분을 과장하여 풍자하거나 특정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한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