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기타 육아상담

비범한애벌래228
비범한애벌래228

모유수유는 언제까지 하면 좋을가요?

모유수유를 하고있는데요.

모유수유는 언제까지 하면 좋을가요?

젖이 안나올때까지 해야되는건가요?

물젖이라고 하던데 언제 그렇게 되는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순수한낙타174
    순수한낙타174

    안녕하세요. 박일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모유 수유는 생후 1~2년은 먹이는 것이 좋습니다.

    6개월 까지는 모유만 먹이시고 그 후로는 이유식과 함께 먹이세요.

    다만 물젖이라고 표현하신 부분에 대해서는 모유가 충분치 않을 경우에는

    분유로 바꿔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각각의 산모들마다 모두 다른게 사실인데요. 사실 육아라는게 완벽하게 정해진 틀은 없습니다. 아이들 상황에 따라 그에 대한 답이 다릅니다. 보통 돌전후( 생후 12개월~14개월)정도에 모유단유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허예진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보통 길게잡을 경우 아이들 돌전후로 모유수유를 중단합니다

    돌 이후부터는 영양소를 음식으로 흡수하기때문에 이유식을 늘리고 조금씩 흰우유를 시도합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모유는 아기에게 가장 이상적인 음식입니다.

    실제 모유는 아기의 발달에 필요한 영양소와 면역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요

    또 수유하는 동안 엄마와의 스킨십을 통해 정서나 사회성 발달에도 도움을 주기도 합니다.

    생후 6개월부터는 모유 수유만으로는 철분 섭취 등이 부족하기 때문에 이유식을 병행하셔야 합니다.

    돌 이후에도 우유보다는 모유수유를 우선으로 하는 게 좋아요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실 육아에 정답은 없습니다. 아이들 상황에 따라 그에 대한 답이 다릅니다. 보통은 12개월~15개월정도에 단유를 하기는합니다. 보통 12개월이 지나면 질문자님께서 이야기하는 물젖의 상태가 되기는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 수유에 있어 모유수유가 아이두뇌발달 및 정서안정에 좋다는 연구결과가

    있으나 필수는 아닙니다. 산모가 모유가 나오지 않을 경우 억지로 모유수유를

    하다보면 아이의 수유량이 적어 성장에 피해가 갈수 있습니다.

    또한 아이가 모유가 나오지 않음을 인식하여 떼를 쓰거나 우는 등 정서안정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도 있으니 모유와 분유를 적절히 섞여 먹여보시길 바랍니다.

    참고로 이유식을 시작하는 시기는 6-10개월 사이이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모유수유와 같은 경우에는 최소 12개월까지는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야 아이가 충분히 영양소를 섭취하고 성장하는데 도움이 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생후 2년까지 모유수유를 권장합니다. 그러므로 아기가 다른 음식도 잘 먹으면서 모유를 찾는다면 24개월 까지 먹이는 것이 좋습니다. 첫 돌이 지난 후에도 영양가 높은 음식을 아기에게 먹이기 힘든경우에는 젖이 중요한 영양원이 되며 이 때에도 젖은 아기들이 감염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해줍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치아가 나오면 모유수유를 하시기 굉장히 어려우실 것입니다

    그렇기때문에 돌정도의 시기까지 수유를 하시면

    적절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모유 수유의 경우 의사협회에서 권고하는 것은

    두돌까지 이지만

    보통은 아이의 치아때문에

    돌 전까지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