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빨간후투티350
빨간후투티350

트리핀 딜레마가 정확히 무엇인지 궁긍합니다.

경제기사에서 트리핀 딜레마라는 표현이 나오던데 정확히 어떤 표현인지 궁금해서 문의드리게 되었습니다.

전문가님들의 설명 기다리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리핀 딜레마란 기축 통화가 국제 경제에 원활히 쓰이기 위해 많이 풀리면 기축 통화 발행국의 적자가 늘어나고 반대로 기축 통화 발행국이 무역 흑자를 보면 돈이 덜 풀려 국제 경제가 원활해지지 못하는 역설을 의미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리핀 딜레마(Triffin's Dilemma)는 브레튼우즈 체제 하에서 전 세계 기축통화국인 미국이 직면했던 범세계적 · 보편적 가치와 국가적 이해관계 간 상충관계(trade-off)를 가리키는 말로 준비 통화가 국제 경제에 원활히 쓰이기 위해 풀리려면 준비 통화 발행국의 적자가 늘어나고, 반대로 준비 통화 발행국이 무역 흑자를 보면 준비 통화가 덜 풀려 국제 경제가 원활해지지 못하는 역설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리핀 딜레마와 같은 경우에는

    브레튼우즈 체제 하에서 전 세계 기축통화국인 미국이 직면했던 범세계적 ·

    보편적 가치와 국가적 이해관계 간 상충관계(trade-off)를 의미하는 말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트리핀 딜레마란 다음과 같습니다.

    이는 준비 통화가 국제 경제에 원활히 쓰이기 위해 풀리려면

    준비 통화 발행국의 적자가 늘어나고

    반대로 준비 통화 발행국이 무역 흑자를 보면 준비 통화가 덜 풀리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리핀 딜레마는 기축 통화가 국제 경제에 원활히 쓰이기 위해 많이 풀리면 기축 통화 발행국의 적자가 늘어나고 반대로 기축 통화 발행국이 무역 흑자를 보면 돈이 덜 풀려 국제 경제가 원활해지지 못하는 역설을 말는것입니다.

    즉 기축통화의 지위국에 있는 국가가 지속적으로 국제수지적자를 감당해야하만 글로벌적으로 달러유동성이 풀려 세계경제가 위축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한다는것입니다.

    이러한 구조 때문에 미국은 여전히 천문학적인 국제수지적자를 감당하고 있으며 과거 2008년 금융위기 같은 상황이 발생하면 한번씩 미국의 천문학적인 경상수지적자를 구조를 언급하면서 향후 미국의 경제가 위기로 빠져 달러가치의 붕괴가 되면 전세계적으로 패닉이나 이런 붕괴위험이 도미노처럼 빠질 가능성을 경고하기도 하였습니다.

    이에 다양한 대안통화인 엔화나 위안화등이 언급되었지만 이는 국가가 미국을 대체할정도의 규모사이즈도 아니며 최근 중국은 자본시장을 개방하자 급격하게 달러가 유출되고 자국의 금융시장이 크게 흔들리며 위안화가치가 크게 흔들리자 다시금 자본시장을 폐쇄시키는 정책으로 유턴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즉 누군가 대안통화가 되기 위해서는 해당국가가 미국처럼 경상수지를 적자를 감당할정도로 위치에 있어야 하는데 아직 중국은 그만큼 기초체력이나 신뢰성이 없다는걸 방증하기도 한 사건이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리핀 딜레마(Triffin Dilemma)는 국제 금융에서 발생하는 구조적인 문제를 설명하는 개념입니다.

    트리핀 딜레마는 주로 미국 달러화가 국제 기축통화로 사용되는 상황에서 발생하는 딜레마를 설명합니다.

    기축통화는 세계 여러 나라에서 무역 결제, 투자, 외환 보유고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그 통화에 대한 수요가 높습니다.

    그러나 이 기축통화의 발행국(미국)의 입장에서는 내부 경제와 국제 경제 간의 상충되는 요구를 맞추기가 어려워집니다.

    결국, 트리핀 딜레마는 미국이 전 세계에 달러를 공급하면서도 달러의 가치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과제임을 나타냅니다.

    이 딜레마는 특히 브레튼우즈 체제(1944~1971년) 동안 심각하게 대두되었고, 결국 1971년 닉슨 대통령의 금-달러 태환 정지 선언으로 인해 브레튼우즈 체제의 붕괴로 이어졌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정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이 기축통화국이 되면서 달러를 전 세계로 풀게되는데, 달러가 시장에 많이 풀려있게 되면 무역의 입장에서 기축통화국인 미국은 무역적자를 계속기록할수 밖에없고,

    그렇다고 흑자를 위해 달러를 다시 본국으로 회수를 해버리면 국제경제의 위축이 발생하는.딜레마가 생기게 됩니다.

    이를 트리핀의 딜레마라고 하죠

  •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리핀 딜레마는 국제 금융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순적인 상황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한 국가의 통화가 국제적으로 사용되는 기축통화가 되면 겪게 되는 어려움을 설명합니다. 기축통화를 발행하는 국가는 국제 유동성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무역적자를 감수해야 하지만 무역적자가 지속되면 기축통화의 가치가 하락하고 신뢰를 잃게 되는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리핀 딜레마는 한 나라의 돈이 세계 여러 나라에서 많이 쓰일 때 생기는 문제입니다. 예를 들어, 미국 달러가 전 세계에서 많이 쓰이는데 이 때문에 미국이 달러를 많이 찍어내면 다른 나라에 물가 상승 같은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달러를 너무 적게 찍으면 세계 경제에 돈이 부족해질 수 있습니다. 이처럼 균형을 맞추기 어려운 상황을 트리핀 딜레마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