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약·영양제

약 복용

하얀고슴도치236
하얀고슴도치236

감기약이나 비염약 등 특정 약은 먹으면 졸린 효과가 있다고 하는데 졸리지 않게는 못만드는 이유가 약료적으로 있는지 궁금합니다.

성별
남성
나이대
30

감기약이나 비염약 등 특정 약은 먹으면 졸린 효과가 있다고 하는데 졸리지 않게는 못만드는 이유가 약료적으로 있는지 궁금합니다.

근육을 이완? 해야 해서 어쩔수 없이 졸려지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감기약이나 비염약에 항히스타민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 부교감 신경계를 자극하여 졸음을 유발할수 있으며 졸음을 방지하기 위해 카페인이 함께 함유되어 있는 경우 졸음 증상이 덜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콧물이 나지않게하는 항히스타민제 성분이 졸음을 유발합니다.

      해당 성분의 부작용을 줄이기위해 카페인이 들어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심주영 약사입니다.

      콧물약때문에 졸린거라 콧물약성분이 들어있지않은 감기약으로 드시면돼요.

      히스타민작용을 방해해서 졸려요.

      원래 그런약이라 어쩔수없어요.

    • 안녕하세요. 양은중 약사입니다.

      졸리지 않게 만든 타입의 항히스타민제도 있습니다.

      BBB를 통과를 덜하게 만든 로라타딘 계열의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비염약과 코감기약에는 항히스타민제가 함유되어있고 해당 약에 의해 졸음이 발생합니다.

      히스타민이라는 물질은 뇌에서 각성작용을 가지는데 이러한 작용을 억제하니 졸음이 생깁니다.

      해당 약의 뇌로의 이행을 줄이는 2-3세대 항히스타민제는 상대적으로 졸음부작용이 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