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보험

의료 보험

얄쌍한닭62
얄쌍한닭62

실비보험든걸 보험사가 비용많이든다고

일방적으로해지 통보할수있나요 20살때가입한 80세보장만기인데 농협보험이고 요즘 고지혈증어 이것저것 온몸이아파서 도수치료도받는중인데 보험사에서 갱신거절이나중도해지시킬권한잇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가입되어 보험료를 납입하고 유지중인 보험은 본인이 해지하지 않는한 회사에서 강제로 직권해지는 안됩니다 만약 가입할때 고지의무위반내용이 있었다면 보험금부지급 또는 직권해지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비급여도수치료를 그냥 여기저기 과잉치료했을때는 보험사에서 현장조사 심사후 치료목적이 아니면 보험금을 부지급 할 수도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경태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회사에서 계약을 해지할 수 있는 경우는 고지의무 위반, 보험사기 등의 경우 불법적인 것이 발견되었을 때입니다. 보험회사는 계약자 또는 피보험자가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중요한 사항에 대하여 사실과 다르게 알린 경우에는 계약을 해지하거나 보장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보험사기에는 고액계약, 다수 보험계약과 같이 소득수준에 맞지 않게 과다한 보험료를 납입하는 방법으로 가입하거나 동일한 종류의 보험상품을 여러 회사에 분산하여 가입한다거나 혹은 비연고성 및 자발성 계약이라고 해서 보험회사에 직접 연락하여 보험계약을 체결하거나 낯선 지역의 설계사 또는 영업소를 방문하여 가입하는 등 자발적으로 보험계약을 체결하는 경우이며 계약자 소득수준보다 과다한 보험에 가입한다든지 부자연스러운 계약도 여기에 해당합니다. 그리고 과잉 도수치료는 도수치료의 한도를 넘어서는 경우에 면책기간이라 해서 부지급할 수 있으나 과잉진료를 이유로 계약해지는 안합니다. 그리고 또 계약 해지하는 경우 2회 보험료를 납부하지 않고 보험 실효 되고 해지환급금을 수령하면 보험계약이 최종 해지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빈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사는 계약자가 정당한 사유 없이 강제로 해지하거나 갱신을 거절할 권한이 없습니다.

    만기까지 유지하는 게 원칙이고 고지의무 위반이나 부정행위가 없다면 계약 해지나 갱신 거절은 불법입니다.

    미납이나 고의적 보험사기, 또는 계약상 위반 사유가 있다면 예외가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우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사는 강제로 해지시길 권한이 없습니다. 아마도 선생님께서 도수치료를 10회이상 받으셔서 보험사에서 연락이 오신 것 같으신데요. 실손보험은 계약자가 해지의사를 밝히기 전까진 자동재계약되십니다.

    중간에 진전소견서나 혹은 부지급을 할 순 있으나 이는 보험사 홈페이지나 금강원에 민원을 넣으시면 해결되실 확률이 높구요.

    도움이 되셨길 바래요~

  • 안녕하세요. 장옥춘 손해사정사입니다.

    20살때가입한 80세보장만기인데 농협보험이고 요즘 고지혈증어 이것저것 온몸이아파서 도수치료도받는중인데 보험사에서 갱신거절이나중도해지시킬권한잇나요

    : 해당 사유로는 갱신거절, 중도해지시킬수는 없습니다. 만기시까지는 유지할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민욱 보험전문가입니다.

    불가능합니다.

    가입할 당시에 문제만 없었다면 보험사는 손해를 본다고

    계약을 해지시킬 수 없습니다.

    그게 가능하면 정말 큰 문제겠죠?

  • 안녕하세요. 윤석민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사가 갱신을 거절할 권리는 없습니다.

    보험사기 정도의 계약해지사유가 발생하지 않는 한 보험금이 많이 지급된다고 보험이 강제해약된 경우는 있었던 적도 없고, 앞으로도 없습니다 :)

  • 안녕하세요. 하성헌 보험전문가입니다.

    실손보험의 경우 보험사가 계약자의 동의나 허락없이 임의로 해지를 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습니다. 이는 불법적으로 만약 동의없이 해지를 한다고 하더라도 민사를 통해서 다시 부활 시킬 수 있습니다. 다만 보험을 유지하면서 발생한 가입자의 보험료 연체나 미납, 보험사기의 고의성 등을 시도했을때는 그 보험의 유지가 어렵습니다. 다만 갱신형 보험의 경우 보험료가 오르는 경우가 많지만, 보험사의 손해가 막심하다고 생각될 경우, 갱신이 거절될 가능성이 높지만, 일반적으로는 보험료의 상승으로 끝내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