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화려하게 부활한 설표
화려하게 부활한 설표

일본에 조선은 임진왜란 이후 통신사를 왜 보내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임진왜란으로 조선과 일본은 굉장히 사이가 안좋을 거라고 생각이 드는데요~ 그런데 일본에 조선은 임진왜란 이후 통신사를 보냈는데요~ 왜 보내게 되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임진왜란 이후 일본이 이에 대해 사죄의 제스처를 보내고, 조선의 선진 문물을 수용하고 싶다는 의지를 피력함에 따라 조선이 일본의 요청으로 통신사를 파견해서 선진 문물을 전해주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 이는 후대 일본 메이지 유신의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어떻게 보면 아이러니입니다. )

  • 임진왜란 이후 기유약조를 체결하고 1607년부터 1811년까지 12회 파견하였습니다. 에도막부에 통신사를 파견한 이유는 전쟁 포로 송환을 위한 실질적 필요에서 의해 파견되었습니다. 또한 전쟁 재발 방지와 일본 정세 파악을 위해서도 파견한 것입니다. 결정적으로 막부의 쇼군의 요청에 파견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

    조선은 총 13회에 걸쳐 통신사를 일본에 파견하였는데 처음 3회까지는 임진왜란 때 일본에 강제로 끌려간 사람들을 찾아오는데 그 목적이 있었습니다.

    4회 이후로는 양국간의 신뢰를 깊게하고 조선의 발달된 선진문화를 일본에 가르쳐 주기 위해서 파견되었습니다.

    또한 일본은 막부의 장군직 계승이나 일본 국내의 중요한 일이 있을 때 조선의 사절을 맞이함으로써 정치적 권위를 세우려고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