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신마취 수술 후 4시간동안 흉곽호흡을 하라고 하던데, 안하면 폐가 안 좋아지나요?
자궁에 혹이 많아서 무려 15개나 제거하느라 수술 시간이 예정보다 길어져서 3시간 반이 넘어갔습니다.
기도삽관하고 마취제를 계속 투여한다고 설명을 들은 거 같습니다. 마취에서 깨고 보니 수술은 끝나고 회복실에서 일반병실로 왔는데 간호사가 과호흡이 있을 수 있다고 흉곽호흡을 하라고 하던데, 너무 졸리고 잠이 오는데 4시간을 참았습니다. 시키는대로 했어요. 수술 직 후 잠을 자면 폐에 안 좋나요?
안녕하세요. 흉부외과 전문의 차호정 입니다.
전신마취 수술 후 계속 호흡 운동을 시키는 이유는 수술 후 24시간~24시간 이내에 무기폐라고 하는 폐 합병증이 잘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무기폐가 발생하고 폐렴으로 진행하는 경우 불필요한 항생제 치료를 해야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인공호흡기 치료가 필요할 수 있고 폐렴이 악화되는 경우 사망률이 올라갈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수술 직후 잠을 자게 되면 기도흡인으로 인한 흡인성 폐렴 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합병증 예방을 위해 계속해서 숨쉬기 운동을 시키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의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전신마취 후에는 회복과정에서 몇 가지 주의해야 할 점들이 있습니다. 수술 후에는 마취로 인해 근육이 이완되고, 숨을 깊게 들이마시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흉곽호흡을 통해 폐를 충분히 팽창시키는 것이 중요한데요. 이렇게 함으로써 폐에 공기를 많이 들여보낼 수 있어, 폐의 일부가 쪼그라드는 폐합병증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침상에서 움직이지 않고 오래 누워 있으면 폐 안의 작은 부분들이 제대로 팽창하지 못하여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특히 수술 시간이 길어지고 전신마취 하에 있는 시간이 길어지면 이런 합병증의 위험이 조금 더 높아질 수 있죠. 그래서 회복실에서나 병실로 이동 후에 간호사가 흉곽호흡을 권장한 것입니다.
물론 수술 직후에는 많이 피곤하고 졸릴 수 있죠. 그러나 짧은 시간 동안이라도 깊고 규칙적인 흉곽호흡을 계속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폐 건강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회복에도 이점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간호사나 의료진의 지시에 따라 흉곽호흡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질문자분의 불편했던 경험을 이해합니다. 힘든 수술을 겪고 나서 매우 피곤했을 것입니다. 회복 과정에서의 이런 조치가 질문자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것임을 아셨으면 합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네.그렇습니다 수술이후에 폐포가 제대로 펴지지 않아 무기폐가 발생할수 있기 때문에 흉곽호흡을 잘 하셔야 이를 방지하고 폐의 건강을 지킬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