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외과 이미지
신경외과건강상담
신경외과 이미지
신경외과건강상담
순한물총새245
순한물총새24522.06.11

밤마다 다리에 쥐나고 경련일어나는 이유?

나이
39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제가 요즘 일주일에 3번정도 새벽마다 다리에 쥐나서 잠을 못잡니다 한두시쯤 깨면 거의 두세시간은 다리경련때문에 못자요 종아리부터 시작해서 허버지 골반까지 무작워로 번집니다

남들은 30분이면 풀어진다는데 전 반복적으로 풀다 났다 합니다

자세도 틀어보고 발도높히 올려보고 해보는데 쥐가풀어지다가도 자세조금만 움직이거나 힘이들어가면 쥐가바로 오네요

쥐나는현상이 종아리 근육이랑 허벅지 무릎위 부분근육이

완전 압축되고 이땐 눈물까지 날정도로 극심한고통이찾아옵니다 발가락도 엄지발가락만 위로 솟아나서 안움직여요

인터넷보면 혈액순환이안된다고 하는데

제가 요즘 건설현장다닌지 두달째인데 힘들고 무리해서 이러는건가요? 그러기엔 2주째 너무자주 이럽니다

왜이러는건지 해결방법은 있나요?

자기적에 스트레칭도하고 찜질도해봤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다리에 쥐가 자주 나는 경우에 혈액순환과 신경에 대해서 생각을 해봐야합니다.

    작성자분의 경우에는 혈액순환보다는 신경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이 신경이 허리에서 눌렸는데 말초 신경이 문제가 생긴건지는 알 수 없고 정형외과나 신경외과 방문하셔서 진료를 통해서 확인하시는게 좋겠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6.12

    안녕하세요. 노동영 의사입니다.

    근육경련, 또는 쥐(cramp)가 나는 것은 근육이 불수의적인 수축을 하기 때문입니다. 보통은 종아리 근육에 잘 발생합니다. 일반적으로 준비운동 없이 운동을 시작했을 때 잘 발생하나 자는 동안에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근육경련이 발생할 시, 종아리를 손으로 주물러주기 보다는 무릎을 쭉 펴고 앉은 상태에서 손으로 쥐가 난 발끝을 잡고 몸쪽으로 당겨주도록 합니다. 발뒤꿈치부터 종아리까지 쭉 늘어나는 느낌을 받으며 10초 정도 유지한다면 뭉쳐진 근육이 풀리면서 통증 완화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만약 종아리 근육 통증 혹은 경련 증상이 짧은 기간 내에 자주 일어난다면, 그것은 단순히 쥐가 난 것이 아니라 하지정맥류, 허리디스크, 척추관협착증 등의 초기증상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증상이 반복되는 것을 느끼시면 진료를 받아 보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종아리에 쥐가 나는 원인은 근육의 과사용, 탈수, 염좌, 한 자세로 오랫동안 있기 등이 알려져 있으나 대부분 경우에는 명확한 이유를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만 하루가 지나도록 해당 증상이 있다면 신경쪽이 압박이 되거나 혈관이 좁아진 문제는 없는지 병의원에 내원하시어 진료를 받아 보시는 것이 가장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과도한 근긴장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흔합니다.

    질문하신것처럼 최근 무리한 활동을 하신것으로 보입니다.

    주무시기전에 스트레칭을 한번 해보세요.


  • 안녕하세요.

    아무래도 하체 등 근육을 무리하게 사용하면서 수분과 전해질이 줄어들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자기 전에 과일이나 초콜릿 등 당을 보충해 보는 것도 좋으며 마그네슘이나

    칼슘이 포함된 영양제를 드시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자기 전에 따뜻한 물을 받아 욕조에서

    다리를 풀어 보는 것도 근육이 풀리고 수분이 흡수되어 근육에 피로감을 줄일 수 있을 것

    으로 보이며 그럼에도 호전이 없다면 일의 강도를 줄이거나 잠시 쉬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시는 증상은 하지불안 증후군의 증상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불안 증후군은 원인은 명확히 알 수 없지만 수면 중에 발생하는 다리의 저린 느낌, 통증 등을 특징으로 합니다. 관련하여 행동요법 및 약물치료 등으로 증상을 많이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우선 정확한 상태 평가 및 치료를 위하여 정신건강의학과 진료를 보시고 치료를 받아보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혈액순환과는 큰 관련이 없으며 신경계의 문제로 인한 가능성이 높습니다. 수면 자세를 변경해 보는것도 한가지 방법이 됩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호진 의사입니다.

    원인의 가능성이 있는 하지정맥류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하지정맥류가 나타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가족력, 과체중, 운동부족 오랫동안 서 있거나 앉아 있는 경우, 흡연 등이 하지정맥류의 위험을 증가 시킨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남자보다 여자에게 좀 더 흔하고 특히 임신 했을 때 하지정맥류가 나타나기도 하는데 대개는 출산후 1년이내에 정상으로 회복됩니다.

    일단 하지정맥류가 오면 다음의 현상들이 나타나게 됩니다.

    정맥 판막 부전의 증상으로 하지의 동통, 경련통, 피로감, 둔통, 자통, 작열감, 무거움 등이 있습니다.

    근골격계, 신경계, 동맥계 등의 장애에 의해서도 발생 가능하므로 전문가와의 상의가 필요합니다.

    치료법은 비수술적인 요법과 수술적인 요법 두가지가 있습니다.

    1. 비수술적인 요법

    1) 보존적 방법: 정맥 순환개선제, 의료용 압박스타킹 등이 증상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2) 혈관 경화요법: 정맥내에 경화제를 주입하여 정맥벽을 손상하여 섬유화반응과 혈전을 유발하여 치료하는 방법입니다.

    2. 수술적인 요법

    1) 절개수술: 문제가 되는 정맥류성 혈관을 직접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2) 레이저수술: 혈관내에 레이저 광섬유를 삽입하여 1200도의 열을 발생하여 혈관을 태워서 폐쇄시켜 역류를 차단하는 원리입니다.

    3) 고주파수술: 혈관내에 고주파 카테터를 삽입하여 120도의 열을 가하여

    혈관의 변성을 유발하여 폐쇄시켜 차단하는 원리입니다.

    4) 베나실: 시아노아크릴레이트라는 생체 접착물질을 역류 혈관내에 주입하여 순간적으로 폐쇄하여 치료합니다.

    5) 클라리베인: 정맥 내막에 기계적인 자극 손상을 유발하여 혈관의 섬유화 폐쇄를 유도하여 치료합니다.


  • 안녕하세요. 노용성 의사입니다.

    다리 혈액순환이 잘 안되시는 것 같은데요

    현재 하는 일이 다리에 무리가 되나봅니다.

    혈관질환이 없는 지 한번 병원 내원하여 진료받으십시오.

    스트레칭 및 마사지 찜질 꾸준히 해주시기 바라며

    영양분 섭취도 고루해주십시오

    근육수축에는 칼슘, 칼륨 등의 많은 전해질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