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마다 있는 카드의 사용가맹점 가능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요즘 각 시마다 지역에서 사용가능한 카드가 있어요. 부산은 동백전 청주는 청주페이 세종은 여민전등등 그런데 그 카드사용가능지점이 있고 사용불가능한 지점이 있는데 그 기준은 어떻게되나요?
지역화폐의 경우는 해당 지역내에서만 사용이 가능하고, 보통은 지역화페를 운영하는 행정단위에 따라 지역제한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서울시에서 운영하면 서울시내에서는 가맹점에 한해 사용할수 있는 것이고, 구청 단위로 발행한 화페는 해당구 단위내에서 가맹점에 한해 사용할수 있습니다, 보통 지역화페는 소상공인 매출증대를 위한 지원정책인 만큼 대기업이 직영 체인점, 대형마트등에서는 사용이 제한됩니다. 또한 소상공인 스스로 가맹점 가입을 거부하는 경우에도 사용을 하지 못할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구청이나 시청등 지역화페 운영행정청에 문의하시면 됩니다.
가맹점을 신청했느냐 안했느냐 차이가 아닐까요
그카드는 그지역 아니면 사용할수 없고 또가게역시 그카들를 받겠다는 등록이 되어야 하지않을까요
상품권은 그지역에서 다쓸수 있지만 카드는 다를거 같습니다
지역화폐는 해당 지역 내의 소상공인 활성화와 지역 경제 발전을 위해 도입된 정책으로 각 지역마다 다른 기준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대형마트, 백화점, 기업형 슈퍼마켓등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며 지역 내의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가게나 전통시장 등에서는 사용이 가능합니다. 사용 가능한 가맹점은 지역화폐 앱이나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가맹점 신청은 해당 지역의 행정기관이나 소상공인 지원센터에서 할 수 있습니다. 정책에 따라 사용 가능한 지역과 가맹점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사용 전에 반드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역에서 발행하는 지역 사용 카드는 지역의 내수 발전 및 지역 내수 경기를 활성화 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화폐 형식입니다. 부산시에서 발행한 동백전은 부산시의 본사를 둔 지역 업체 및 가게에서만 사용토록 해서 지역기반 경기 활성화 방침이 있는 지역화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