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 아이와 부모와의 애착 관계는 어떻게 검사하나요?
저학년이 되면 어느정도 독립성도 생기고, 스스로 해 나가면서 엄마에 대한 의존도가 사실상 저하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 상황에서는 애착 검사가 어떻게 진행되나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와 부모와 애착형성은 유대감/신뢰감을 형성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 랍니다.
안정된 애착형성은 부모님의 관심.사랑.애정으로 아이를 잘 돌봐주고 세심하게 보살펴 주는 것으로
아이의 심리적 + 정신적인 부분의 많은 영향을 미치면서 정서적인 안정감을 갖는데 도움이 되어집니다.
아이의 애착형성에 대한 부분의 체크는 아이의 행동을 잘 관찰하는 것이 필요로 합니다.
스킨십에 대한 반응, 놀이에 대한 아이의 태도, 낯선 사람과 있을 때 반응, 분리반응, 재접근 반응 등을 살펴보도록 하세요.
안녕하세요.
초등학생과 부모 간의 애착 관계는 주로 관찰, 면담, 심리검사 등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저학년이 되면 독립서잉 늘어나지만 안정적인 애착은 여전히 정서적 지원과 신뢰로 나타납니다.
검사는 아이의 감정 표현, 부모와의 상호작용, 스트레스 상황 대처 방식을 중심으로 진행됩니다.
독립성과 애착은 상반되지 않으며, 건강한 애착은 자립을 돕는 기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초등학생의 애착 관계는 유아기처럼 단순 분리 상황 관찰이 아니라 설문, 면담, 그림검사 등을 통해 평가합니다. 아동이 느끼는 부모에 대한 신뢰, 정서적 안정, 의사소통 등을 질문하거나 부모와의 상호작용 장면을 분석합니다. 학교,가정 행동 정보도 함께 참고해 종합적으로 판단합니다.
부모와 아이의 애착 관계를 검사하는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낯선 상황 검사라고 해서 아이와 보호자가 함께 있다가 보호자가 자리를 비우고 낯선 사람들 들어오는 상황을 관찰
애착 Q -정렬: 부모나 관찰자가 아이의 행동을 카드로 정렬하여 애착의 안정성을 평가
부모-자녀 상호작용 관찰: 놀이 상황, 일상적인 상호작용을 비디오로 촬영하거나 직접 관찰
설문지 및 자기보고식 검사: 부모용 애착 스타일 검사, 부모-자녀 관계 척도 등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는 엄마와의 관계에서 신뢰감을 배우고 자아를 형성하게 됩니다. 엄마와의 애착관계는 대인관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타인에 대한 신뢰를 가지며 행복감을 느끼게 됩니다.
초등학교 저학년의 경우 아이의 발달과 언어능력을 고려하여 자유놀이와 분리 및 재결합 놀이를 통한 관찰로 놀이 기반 애착관계를 평가, 그림, 질문지 및 인터뷰 등을 바탕으로 정서적반응과 행동패턴을 평가하고 엄마와의 상호작용을 살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또한, 애착유형검사, 정서및행동평가 등의 심리검사를 활용하기도 합니다.
아이의 애착검사를 진행하는 전문가에 따라 검사방법과 방향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