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이 안 열어서 여기에 문의해요 ㅠㅠ
발가락에 멍들고 감각이 안느껴져요
어제는 약지발가락이 찢어지게 아파서 못 걸을 정도였는데 오늘은 통증이 없고 감각 자체가 없어요.
발가락은 움직여지는데 감각이 없고 텅빈 느낌 나면서 저렇게 멍들었어요
증상이 뭘까요
질문의 내용을 확인하고
[사진 보기]를 눌러주세요.
안녕하세요. 이동진 물리치료사입니다.
발가락 통증으로 불편이 있으시군요.
4번재 발가락의 통증과 감각저하가 있으시다면 지간신경종으로 인하여 신경을 압박하여 염증이 유발된 것을 의심해볼 수도 있을 것입니다.
증상이 지속되거나 심해지신다면 정형외과에서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발가락에 멍이 들고 감각이 안 느껴지고 어제는 약지 발가락이 찢어지게 아파서 못 걸을 정도로 통증이 심했다면 여러가지 문제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멍이 들 정도로 충격을 받았다면 피부 아래나 근육 내 출혈이 신경을 압박했을 가능성이 있고, 또는 멍든 조직 안에 고인 혈액이 신경을 누르면서 감각이 없어졌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 단순 타박상이 아닌 작은 골절이나 관절의 손상일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여러가지 문제를 의심해 볼 수 있고 감각이 없다는 것은 단순한 타박상 보다는 심각한 문제일 가능성이 높으며 감각이 돌아오지 않으면 영구적인 감각의 저하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가까운 병원에 방문하시어 정확한 상태 검사 받아보시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사진상으로 많은걸확인할수는없지만 감각이상과함께 멍이들었다면 골절이나 염증으로인해서 나타나는증상일수있습니다 발쪽으로 강한충격을받았는지 생각해보시고 일단 집에서는 차가운냉찜질을적용하면서 되도록이면 휴식을 취하는걸 추천합니다
빨리 몸이 호전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
말씀하신 증상이 왜? 발생했는지가 중요합니다.
약지발가락 통증이 심했다가 다음날 감각 저하 + 멍든느낌이 있다는건 신경손상이 발생했다는 것으로 보이며,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바로 응급실에 가보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만약 외상으로 인한 증상이라면 혈관이 손상되어 혈류를 차단해 조직이 허혈되었을 수 있고 만약 검정색으로 더 심하게 변한다면 바로 병원에 가셔야합니다.
또는 말초신경손상도 의심해볼 수 있는데, 발가락은 움직여 지지만 감각이 없다면 이도 신경 손상일 가능성이 커 바로 병원에 가셔야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발가락 멍과 감각 소실은 신경손상이나 타박상으로 인한 일시적 마비일 수 있습니다. 감각이 없고 텅 빈 느낌이 지속되면 지연된 신경 압박이나 혈류 문제일 수 있어요 가까운 정형외과를 방문하는 것이 좋아요 지체하면 영구손상 위험도 있으니 시간이 되실때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타박상이 발생하신것은 아닌가 생각이드는데요, 감각이 둔한 증상은 신경에 자극이 발생하여 나타날 수 있는 증상으로 보여집니다. 타박상이 없이 발생한 증상이라면, 어제 발생한 증상이 진행된 것으로 보여집니다. 근육경련이나 관절의 손상등을 의심해볼 수 있으며, 불편감이 지속되거나 심해지는 경우에는 병원에 방문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발가락에 갑작스럽게 심한 통증이 있었다가 다음 날 감각이 사라지고 멍든 모습이 보인다면, 외상성 신경 손상이나 혈류 문제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발가락에 직접적인 충격이 있었거나 꽉 끼는 신발을 신었을 경우, 작은 혈관이 터지며 멍이 들 수 있고, 신경이 눌리거나 손상되면 감각이 무뎌지거나 아예 없어지는 현상이 생길 수 있어요
감각이 없다는 건 단순한 멍 이상일 수 있으며, 신경계 이상 징후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지금처럼 감각이 없고 멍이 퍼져 있다면, 가능한 한 빨리 병원에서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뼈에 금이 갔거나(골절), 신경이 눌린 상태일 수도 있으므로 엑스레이나 초음파 검사가 필요할 수 있어요. 당장은 통증이 없더라도 감각이 돌아오지 않거나 멍이 심해지면 문제가 커질 수 있으니, 되도록 빨리 정형외과나 외상 응급 진료가 가능한 병원에 내원해보시는 게 안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