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신박한까마귀
신박한까마귀

주식에 있어서 PER과 PBR은 무엇을 뜻하는가요?

안녕하세요. 온화한돌고래유니파파입니다.

주식에 관련된 동영상을 시청하다보면 항상 PER과 PBR을 강조를하던데 이 두가지가 무엇을 의마하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3개의 답변이 있어요!
  • * PER은 주가수익비율이라고 합니다. PER은 내가 해당 기업을 얼마에 주고 살 수 있는지 알게 합니다. PER이 1 인일 경우, A기업이 매년 1억원 수익을 남깁다고 가정하면 PER 1인 경우는 나는 이 A기업을 1억원을 주고 산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나 누구도 매년 1억원의 수익이 발생하는 기업을 1억원에 팔지 않습니다.

    PER이 10배인 경우, A기업이 매년 1억원의 수익이 남음으로 10억원을 주고 사는 경우를 말합니다.

    PER =1 (수익 대비 주가 저평가) , PER= 100 (수익 대비 주가 고평가)

    * PBR은 주가순자산비율입니다. 말 그대로 주가 00원일 때 주당순자산이 00원이란 의미입니다. 주가가 1000원인데 주당순자산이 500원이라면 주가가 자산에 비하여 높게 거래되는 것이고(PBR =0.5)

    주가가 1000원인데 주당 순자산이 2000원이라면 주가가 자산에 비하여 저평가(PBR = 2) 된 것입니다. 즉 회사가 망해도 주식을 갖고 있는 사람에게는 1개 주식당 2000원을 주겠다는 의미입니다. 참고로 일반적으로 주가순자산비율이 0.7 이하면 매수를 권유합니다.

  • per은 주당 수익 대비 주가로 주당 시가를 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비율을 말합니다. pbr은 주당 시가를 주당 장부가치로 나눈 비율을 말합니다. per과 pbr은 모두 수치가 낮을수록 해당 주식이 저평가 되었다고 말합니다.

  • PER은 주가수익비율(Price-to-Earnings Ratio)을 나타내며, 기업의 주가를 기반으로 한 순이익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주가수익비율이 높을수록 시장이 해당 기업에 대해 높은 수익을 기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BR은 주가순자산비율(Price-to-Book Ratio)을 나타내며, 기업의 주가를 기반으로 한 순자산가치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주가순자산비율이 1보다 낮을 경우, 시장이 해당 기업을 저평가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per과 같은 경우 주가수익비율로 주가가 1주당 수익의 몇 배가 되는가를 나타내는 지표

    pbr은 주가순자산비율로 기업의 순자산에 대하여 1주당 몇 배로 거래되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PER과 PBR은 주식을 평가하는 중요한 수치입니다. PER은 주가수익비율로 회사가 벌어 들이는 돈에 비해 주식 가격이 얼마나 비싼지를 보여줍니다. PBR은 주가순자산비율로 회사 자산에 비해 주식 가격이 얼마나 비싼지를 나타냅니다. PER이 낮으면 주식이 저렴할 수 있고 PBR이 낮으면 회사 자산 대비 주식이 저렴할 수 있습니다. 이 숫자들을 보면 주식이 싸거나 비싼지 알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PER은 Price to Earnings Ratio 주가수익비율로, 기업의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값입니다.

    PBR은 Price to Book Value Ratio 주가순자산비율로, 기업의 주가를 주당순자산가치로 나눈 값입니다.

  • 안녕하세요

    • 둘다 시가총액 대비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지표라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습니다.

    • PER은 시가총액 대비 영업이익이 얼마나 되는지를 나타내며 PBR은 시가총액 대비 자산의 규모를 의미합니다.

    • 둘 다 지표가 적을수록 저평가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가치투자자들 입장에서 매력적인 가격대를 산정하는데에

      이러한 지표를 사용하곤 합니다.

    감사합니다.

  • 둘 다 주가의 수준을 평가할수있는 지표입니다.

    per은 기업이 벌어들인 수익에 비해 주가수준이 어떤지 알수있는 지표이고,

    pbr은 기업의 전체 자산 대비 주가수준이 어떤지 확인할수있는 지표입니다.

    per이 10이면 이 기업이 10년간 벌어들인 돈으로 이 기업을 살수있는 것입니다.

    pbr이 1이면 이 기업의 자산을 팔았을때 시가총액과 자산을 판 금액이 같다는 말입니다.

    두 지표 모두 클수록 주가가 고평가 되었다는 것입니다.

  • == PER(Price on Earning Ration)은 현재 주가를 주당순이익(순이익/ 총 발행주식 수)으로 나눈 값으로, 주가수익률, 주가순익률 등으로 불립니다. PER은 주가가 주당순이익의 몇 배가 되는지를 나타내주기 때문에 PER가 높다면 수익에 비해 주가가 고평가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 PBR(Price To Book Ratio)은 주당 시장가격을 주당 장부가치로 나눈 것입니다.

    여기서 주당 장부가치는 기업이 자사의 모든 자산을 장부(회계적)가치로 청산한 한 후 우선주를 포함한 모든 부채를 제외하고 남은 금액을 총 발행된 보통주식의 수로 나눈 금액을 의미합니다.

  • 질문해주신 주식에 있어서 PER과 PBR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PER은 주가를 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비율을 의미하고

    PBR은 주가를 장부의 가치로 나눈 비율을 의미합니다.

    PER, PBR이 낮을수록 주가가 저평가 된 주식임을 나타냅니다.

  • ✅️ PER은 주가수익비율로 한 주당 순이익(EPS) 대비 주가가 어느정도인지를 보여주는 지표이고, PBR은 주가순자산비율로 한 주당 순자산(BPS) 대비 주가가 어느정도인지를 보여주는 지표라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PER은 회사의 이익대비 주가가 얼마냐 높냐입니다. PBR은 장부가치 대비 주가가 얼마냐 높냐 이구요. PER은 주로 일반적인 기업, PBR은 주로 은행에서 많이 봅니다. 은행은 쉽게 말해 가진 돈으로 굴려서 돈 버는거기 때문에 가진 자본을 중요시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 PER은 주가 수익률 비율로 기업의 주가를 기반으로 한 수익률을 나타냅니다. PER은 주식 시장에서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지표 중 하나로, 주가를 순이익으로 나눈 값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PER이 낮을수록 주식이 저평가되었다고 보고, 반대로 높을수록 고평가되었다고 봅니다.

    PBR은 주가 순자산 비율로 기업의 주가를 기반으로 한 자산가치를 나타냅니다. PBR은 기업의 순자산을 발행주식수로 나눈 값으로, 주식 시장에서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지표입니다. 일반적으로 PBR이 낮을수록 기업이 저평가되었다고 보고, 반대로 높을수록 고평가되었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