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유아교육 이미지
유아교육육아
유아교육 이미지
유아교육육아
냉정한무당벌레83
냉정한무당벌레8323.04.07

초등학교 다니는 아이 수학학원은 언제쯤 다녀야 포기안할까요?

이제 슬슬 초등학교 다니는 아이 수학이 어려워지는거 같아서 학원 다녀야하나 고민되네요. 영어학원도 보내는데 부담스러워서 안보낼수도 없고ㅜㅜ 고민어 깊어지는 시기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4.07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수학 학원을 보내기 부담스러우시다면 아이가 인터넷 강의 등을 듣고 혼자 공부를 해볼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실질적으로 가장 어려움을 겪는시기가 고학년 수학부터입니다

    이전에는 가정에서 학습지나 복습을 통해 기초를 다지고 3학년후반이나 4학년때 막히기 시작하면 다니는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포기를 하는것은 재미가 없어서 그렇습니다.

    언제가 중요하기보다는 아이가 수에 대해서 재미를 느끼고 그것에 대해서 탐구를 하려고하는것이기에

    아이와 이야기해보고 흥미가 있는데 자신이 이해하는것이어렵다고 느낀다면

    학원에 보내주셔도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초등수학은 3학년 정도가 되면, 굉장히 어려워 지는 것 같습니다.

    주위에선 수학은 다들 선행을 하고 오니 안할수도 없는 것 같아요.

    요즈음엔 학원을 매일 가는 게 아니고, 주 2회, 또는 주 3회로 나눠서 가기도 하니, 아이와 잘 상의해서 결정하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권미정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수학학원을 다니는 시기는 아이마다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기준이 따로 없습니다. 하지만, 아이가 수학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학원을 고려해볼 만합니다.

    아이가 초등학교 1학년이거나 2학년이라면 수학학원을 다니는 것보다는 가정에서 꾸준한 수학학습을 지속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수학적 사고를 배우는 데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부담을 주지 않는 선에서 일상 생활에서 자연스럽게 수학을 경험하게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아이가 3학년 이상이 되어서 수학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면, 학원을 고려해볼 만합니다. 이때 수학학원에서 배우는 내용이 학교에서 배우는 내용과 비슷한지, 그리고 아이에게 적절한 교재와 교육 방법을 제공하는 학원인지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초등학교 수학학원을 다니는 것은 부담스러운 일이지만, 아이의 수학적 능력 향상과 학업 성취를 위해서는 필요한 선택입니다. 따라서, 아이의 수학 학습 상황과 성향에 맞게 학원을 선택하고, 꾸준한 학습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