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리스크 진단이 기업의 수출입 실무에 어떤 의미를 가지나요?
최근 글로벌 바이어들이 공급망 내 ESG 기준 준수를 요구하면서 무역기업도 ESG 리스크 진단을 받고 있습니다. ESG 리스크 항목에는 어떤 항목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ESG 리스크 진단에서는 근로자 인권, 아동강제노동 여부, 산업안전 관리, 온실가스 배출량, 에너지 사용량, 폐기물 처리 방식, 협력업체의 윤리 준수 여부 등 다양한 항목이 평가 대상이 됩니다. 특히 환경과 사회 부분 외에도 기업 지배구조와 내부 통제, 반부패 정책 유무 등도 점검되므로, 수출기업은 단순한 서류 준비를 넘어서 실제 이행 가능성과 지속적인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ESG 리스크 진단이란 게 그냥 이미지 관리 차원에서 하는 거 같아 보여도, 요즘은 바이어들이 계약 조건처럼 요구해서 무역 실무에도 직접적인 영향 끼치는 상황입니다. 환경오염 여부, 노동자 인권 문제, 내부 윤리 통제 같은 항목이 주요 평가 대상이고요. 진단 결과에 따라 납품기회 날아가거나 거래 중단될 수도 있어서, 수출기업 입장에선 인증이나 자체 점검 체계 갖추는 게 실무적으로도 중요해졌습니다. 그냥 보고서 하나 만들고 끝나는 문제가 아닌 셈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수출입 실무에서 ESG 리스크 진단은 단순한 평가로 끝나지 않습니다. 글로벌 거래에서 필수 조건처럼 작용하는 흐름이 이미 시작됐기 때문입니다.
특히 유럽이나 북미권 바이어들은 공급망 전체가 ESG 기준을 지키는지 확인하려는 경향이 강합니다. 이때 기업이 ESG 진단을 받지 않거나 리스크가 크다고 평가되면, 계약 자체가 불발되는 사례도 적지 않습니다. 실제 실무에서는 협력사 코드 요구나 체크리스트 사전 제출 요구로 먼저 나타나기도 합니다.
리스크 항목은 보통 환경관리, 탄소배출, 노동권, 산업안전, 윤리경영, 공급망 내 인권 문제 같은 부분들이고, 최근에는 정보보안이나 기업 내 고위험군 거래처 관리도 포함되는 추세입니다. 수출입 기업이라면 단순 대응이 아니라, 거래선 신뢰 유지와 직접 연결되는 중요한 실무 요소로 인식할 필요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ESG 리스크 진단은 글로벌 바이어의 요구에 따라 수출입실무에서 점점 더 자리잡고 있는 부분이 있다고 보여집니다.
주요 항목에는 환경/사회/거버넌스에 대한 적절한 운영/관리가 요구될 것으로 보이며,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 기업들은 공급망 전반에 걸쳐 ESG 기준을 점검/관리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