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의연한멧돼지241
의연한멧돼지24123.04.26

아이가 너무 고집을 심하게 부려요 어떻게 훈육할까요??

안녕하세요

아이가 너무 고집을 부라는데

매일 안돼안도ㅑ 하면서 소리치는 것도 지치네요…

어떻게 훈육하시는 것이 좋을 지 알료주세요 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4.26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고집을 부려서 걱정이 되겠습니다.

    아이가 고집을 부릴 때는 어떤 대화를 하려고 해도 말이 안통할겁니다.

    우선 아이가 조금 안정이 될 때까지 기다립니다.

    고집을 부릴 때마다 반응을 해주다보면 오히려 그 행동이 강화가 될 수도 있습니다.

    아이가 어느정도 안정이 되면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고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보호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다음부터는 원하는게 있을 때는 고집을 피우지 말고, 직접 말로 표현했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신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고집을 피우는 것은 자기 주장이 생겼다는 뜻입니다.아이를 진정시키고 아이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살펴 볼 필요가 있습니다.그래서 아이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보시고 특별히 위험하거나 남에게 피해를 주는 일이 아니라면 해보게 하는 것도 괜찮습니다,그리고 정말 안되는 일은 단호하게 안된다고 알려주세요.고집을 피우더라도조금은 무관심하듯이 하는 것도 고집을 잠재울수 있으니 그 자리를 잠시 피하시는 것도 한가지 방법이 될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고집이 센 아이의 원인은 아이의 발달 과정에서 생겨나는 자연스러운 현상 입니다. 자의식과 자기중심적 욕구가 강해지기 대문에 아이들은 아직 의사표현의 서툴어 자신의 욕구를 고집으로 표편하기도 합니다.

    고집이 센 아이 훈육법 및 부모의 역할을 적어드리자면

    1. 단호하게 말하고 이성적인 태도를 취하도록 하세요.

    훈육에는 일관성이 가장 중요합니다. 아이가 고집을 피운다면 단호하게 “안돼” 라고 말하여주시고, 고집을 피우면 안되는 이유에 대해서 설명을 해주도록 하세요.

    2, 반복해서 설명해 주세요.

    한 번 말해서는 아이가 듣지 않습니다. 이해하기도 힘들어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가 이해하고 받아들일 때까지 자주 반복적으로 설명을 해주도록 하세요,’

    3. 적절한 벌도 필요합니다. 가지고 놀던 장난감을 잠시 가지고 놀지 못하게 하거나, 벽을 보게 서있게 하여 아이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는 정도의 벌을 주도록 하세요.

    4. 무시하는 방법 입니다. 때로는 그냥 모른척 하고 있으세요. 아이의 시야에서 잠시 벗어나 잠시 다른 곳으로 가버리는 것도 좋습니다.

    5. 타임아웃을 해보세요. 잘못한 행동을 한 아이를 격리된 장소로 옮겨 혼자 장시간 있게 하면서 스스로 반성하는 시간을 가지도록 해주세요. 10분 이상 오래 두는 것은 오히려 좋지 않습니다. 또한 밀폐되고 어두운 공간에 혼자 있게 하는 것도 좋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

    아이들은 커가면서 자기주장이 강해지고 별것 아닌 것에도 고집을 피우고 떼를 쓰고 합니다. 이럴때마다 부모는 답답한 마음 뿐인데요. 아이도 스스로 생각할 시간을 주면서 아이가 깨닫을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 그리고 훈육을 할땐 화를 내서는 안됩니다. 아이에게 상황에 대해서 설명하고 아이가 터득해 나갈 수 있는 시간을 충분히 줘야 합니다. 떼를 쓸땐 엄마는 아이가 흥분을 가라앉히고 감정을 조절 할 수 있도록 기다리면서 타이르는 말투 또는 아이 스스로 느낄 수 있도록 이끌어 주어야 합니다. 하루 아침에 달라지지 않겠지만 꾸준하게 훈련하다보면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고집을 부릴 때 아이의 자율성이 저해되지 않도록 아이의 행동에 숨겨진 의미를 공감해주고 아이의 의사를 존중해주면서 조절을 해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고집이 너무쌔다고 느껴지면 아이에게 이러한점을 이야기해주시는것이 좋습니다

    어떤 어떤 부분으로 인해서 친구들과 관계를 맺거나 하는것이 힘들수있을수도 있는점이나

    이러한것으로 상대방이 어려움을 겪고 힘들수있다는것을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무조건 안돼! 보다는 아이를 감정적으로 소통할 필요가 있습니다


    너무 고집스러운 행동을 한다면 왜 그런행동을 하는지를 살피실 필요가 있고 해당되는 이유가 있다면 그 이유를 해결하기위해 도와줄 필요도 있습니다


    무조건 오냐오냐 하는 것도 안좋다만 무조건 혼내는 것도 좋지 않기때문에 아이와의 소통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