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에는 주택단지에서 재개발을 하게 되면 몇 년 정도 걸리게 되나요?
저희 가족이 거주하는 곳이 아주 오래된
약 40년 정도 된 3-4층으로 된 주택 단지인데
이런 곳이 재개발을 하게 된다면
어느 정도 기간이 소요되는 것이 일반적인가요?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재개발이 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정비구역으로 지정이 되어야 합니다.
정비구역이 지정이 되고 그 다음으로 조합을 설립을 하고 시행사 선정하고 사업시행인가 및 관리처분, 그리고 철거 및 공사 후 입주가 가능한데 가장 먼저 정비구역 지정이 중요하고 주민들 동의 등 여러 요소에 따라서 기간을 달라 질 수 있습니다. 최근 공급에 대한 이슈가 많아서 정비구역 지정 또한 평균 8년에서 2년에서 단축을 시키고 있는 추세이고 또한 재개발 단계로 신속하게 이루어 진다고 하니 예전 보다는 좀 더 빠르게 진행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지만 사업성 및 토지소유자들의 동의율에 따라 유동적일 수 있다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은 하기 어렵습니다. 재건축 ,재개발 모두 각 사업마다 개발구역의 면적이나 진행속도에는 차이가 있고, 이는 과정상의 기간보다는 사업개발에 따른 이해관계자가 협의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나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재개발,재건축 모두 짧으면 5~7년안에 가능하지만 길어질 경우 10년 넘게 이어지는 경우도 적지 않기 떄문입니다. 특히 개발사업에서 다세대, 다가구처럼 세대가 구역내 밀집된 사업지의 경우 조합원들이 많고 그에 따른 이해충돌도 많기 때문에 다른 개발업지보다 더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게 일반적입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최소한 5년 이상,보통은 7~10년 정도 걸릴수 있습니다
주민 간 합의가 잘 되고 지자체 승인 절차가 빠르면 5~6년 내 가능한 경우도 드물게 있습니다
저희 가족이 거주하는 곳이 아주 오래된
약 40년 정도 된 3-4층으로 된 주택 단지인데
이런 곳이 재개발을 하게 된다면
어느 정도 기간이 소요되는 것이 일반적인가요?
===> 상기 질문요지를 고려할 때 재개발 소요기간을 문의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경우 재개발 진행방식, 조합원의 동의여부 등을 가지고 판단해야 하지만 짧게는 10년 길게는 20-30년 소요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최근 서울시 등에서 절차 간소화와 인허가 과정 단축 등으로 전체 기간을 5년 이상 줄이려는 정책을 추진 중에 있으나 실제 현장에서는 주민 동의, 권리 정리, 인허가 지연 등 변수 때문에 평균적으로 8~10년 이상 걸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채정식 공인중개사입니다.
현재 거주하고 계신 40년 된 주택 단지 재개발 사업은 절차 진행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 평균적으로 최소 7년 이상 경우에 따라 10년에서 15년 이상 걸릴 수 있음을 염두해 두시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