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을 많이 자도 피곤한 경우에는 어떤 방법이 좋을까요?
요즘들어서 잠을 평소보다 많이 자는데도 아침까지도 피로가 쉽게 풀리지가 않아서 혹시 왜 그런건지 또 어떤 방법이 좋은지 궁금해서 물어봅니다
안녕하세요. 강신우 한의사입니다.
잠을 많이 자도 피로가 풀리지 않는 현상은 흔한 문제지만, 그 원인은 다양합니다. 단순한 수면 부족이 아닌 수면의 질, 신체 기능 저하, 스트레스, 또는 기질적인 질환 때문일 수 있습니다. 아래에 주요 원인과 개선 방향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수면의 질 문제코골이, 수면무호흡증, 뒤척임 등으로 깊은 수면(렘수면, NREM3)에 도달하지 못하면 충분히 자도 개운하지 않습니다.
전자기기 사용, 늦은 시간 카페인 섭취도 수면의 질 저하 요인입니다.
-> 실천하기 힘들어도, 주무시기 전에 스마트폰 및 TV를 적어도 30분간 이상 안 보는 습관을 들이고 커피는 오후 6시 이후로는 마시지 않아야 됩니다.
-> 수면무호흡증의 경우 비만과 깊은 연관이 있어, 만약 비만하신 경우 체중 조절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 이 부분은 간과하기 쉬운 부분인데, 정말 중요한 부분입니다. 바로 수면 환경 조성입니다. 본인에게 맞는 온도, 습도를 찾아 상시 유지하는 것입니다. 개개인마다 어떤 사람은 춥게 자고 어떤 사람은 따뜻하게 자고 각각 맞는 환경이 다릅니다. 한여름에 보일러를 틀고자야 하는 분도 있고, 한겨울에도 빨개벗고 주무셔야되는 분도 있습니다.
간 기능 저하 문제
간 수치(AST, ALT)가 높거나 간 해독 기능이 떨어지면 피로 물질 배출이 느려져 지속적인 피로감 유발
-> 주기적 건강검진으로 수치를 확인하고, 절주하시고 간을 보호할 수 있는 식단(지중해식, 미나리, 채소, 견과류 등)을 실천해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3. 자율신경계 불균형스트레스, 과로, 불규칙한 생활로 교감-부교감 신경이 균형을 잃으면 깊은 휴식을 취하기 어려움
-> 커피, 음주, 흡연 등을 삼가하시고, 침치료를 받으시는 것도 자율신경계 균형 회복에 도움이 됩니다.
4. 만성 피로 증후군, 갑상선 기능 저하 등
이유 없는 극심한 피로가 몇 주 이상 지속된다면 의료적 평가 필요합니다.
잠을 많이 자도 피로가 안 풀리는 경우는 단순한 "수면 시간"보다는 수면의 질과 몸 상태의 이상에서 원인을 찾아야 합니다. 생활 습관 조절과 함께 필요 시 검진(간 기능, 갑상선 등)을 받아보는 것이 좋고, 한의학적으로는 전신의 체계적 진찰을 통해 현 상태의 원인을 파악합니다. 이러한 만성 피로의 경우 보통 간기허약, 기허, 또는 담음(痰飮) 문제로 나타나며, 치료가 가능합니다.
질문자 분의 건강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잠을 많이 자도 피곤한 경우에는 체력이 떨어져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근력 운동 등으로 체력을 올려주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또한 숙면을 취하지 못한 경우에도 피공감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숙면을 방해하는 여러가지 원인들을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성주영 한의사입니다.
잠을 평상시보다 많이 자는데도 피로가 풀리지 않는 것은 수면의 질이 떨어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수면 시간도 중요하지만 수면의 질이 낮으면 피로 회복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잠들기 전에는 스마트폰을 되도록 보지 말고, 매일 규칙적으로 운동해보시길 권유드립니다. 생활 습관을 바꾸었는데도 증상이 비슷하다면 피로가 발생하는 것이 자율신경계 불균형, 갑상선 기능 저하증 등 다른 원인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진료를 받아보시길 권유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잠을 많이 자도 피로가 풀리지 않는다면 수면의 질, 생활습관, 스트레스, 건강 문제 등 다양한 원인을 점검해야 합니다.
수면 습관과 환경 개선, 규칙적인 운동, 수분·영양 관리, 스트레스 완화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잠을 많이 자는데도 피로가 가시지 않는 상황에 대해 말씀해 주셨군요. 이런 경우,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는데요. 먼저 수면의 질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충분히 자더라도 깊은 잠을 자지 못하면 피로가 이어질 수 있거든요. 수면 무호흡증이나 불규칙한 수면 패턴도 원인이 될 수 있으니 이를 한번 점검해보시는 게 좋겠습니다.
또한, 생활 습관 중에서 우리가 간과할 수 있는 것들이 있는데, 규칙적인 운동이나 적절한 식사가 부족하다면 피로가 쌓일 수 있습니다. 운동은 혈액순환을 돕고 활력을 되찾는 데 도움이 되니 가벼운 운동이라도 꾸준히 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식사 역시 중요합니다. 영양소가 균형 잡힌 식사를 통해 에너지를 공급받고 있는지 한번 살펴보세요.
스트레스 또한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정신적인 피로는 신체적으로도 나타날 수 있으니, 스트레스를 관리하기 위해 명상이나 취미 활동을 시도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만약 이러한 방법들로도 피로가 해소되지 않는다면 병원을 방문해 보다 정확한 진단과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가 놓쳤던 다른 신체적인 요인들이 있을 수 있으니까요.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