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기사 평론가들의 썰들을 보면 우리나라 과일 물가가 전세계적으로 가장 높은 위치에 있게 되었다고 하는데~
언론기사 평론가들의 썰들을 보면 우리나라 과일 물가가 전세계적으로 가장 높은 위치에 있게 되었다고 하는데~
왜 이렇게 된 거고~ 진짜 맞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과일 가격이 전세계적으로 가장 높다는 평가는 과장된 것 같습니다. 하지만 과일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긴 합니다. 그 배경과 원인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첫째, 국토 면적 대비 인구 밀집도가 높고 경작 가능한 토지 면적이 협소해 대부분의 과일을 수입에 의존하기 때문입니다. 수입 과일에 관세와 유통비용 등이 더해져 가격이 높아집니다.
둘째, 우리나라는 소비자들이 품질 좋은 과일을 선호하고, 신선도에 민감해 저렴한 과일보다는 고가의 프리미엄 과일 소비가 많습니다.
셋째, 생산비와 인건비 등 국내 물가 수준이 높아 국내 과일 생산비용 자체가 비쌉니다.
하지만 일부 저렴한 수입 과일의 경우에는 가격이 그리 비싼 편이 아닙니다. 전반적인 과일 가격 수준이 전세계에서 가장 높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그래도 국내 생산 확대, 유통 효율화 등 가격 안정화를 위한 노력은 필요해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인플레이션율을 보면 3%대로 낮은 수치를 보이고 있지만 실제 해외의 국가들이 적용하는 인플레이션 기준을 동일하게 적용할 경우 우리나라의 인플레이션율 수준은 6%대까지 상승하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인플레이션 수준은 지금 심각하게 높은 상황이라고 볼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 과일 등이 상당히 비싼 축에 속하며
그 이유는 아무래도 대규모 재배 등이 어렵고 더불어서 중간 유통마진이
지나치게 큰 등 하기에 그럴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본적으로 과일 생산량이 적고 4계절이 뚜렷하여 연중 수확이 가능한 아열대 과일 재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또한, 사과 등 주요 과일의 경우 과거 채산성 악화로 많은 사과 농장이 문을 닫은 영향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