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용·노동

산업재해

화려하게 부활한 설표
화려하게 부활한 설표

과로가 산업재해로 인정받기도 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과로가 산업재해로 인정받기도 하는건가요? 과로로 산업재해 인정되었다는 사례가 있는것인가 의문스럽습니다. 과로로 어떻게 몸에 이상이 생겼다는것을 증빙하는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대진 노무사입니다.

    과로와 업무상 스트레스로 인한 산업재해는 인정된 사례가 많습니다. 과로 여부는 근로시간, 업무상 스트레스의 정도 등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차호재 노무사입니다.

    귀 질의만으로는 정확한 사실관계의 판단이 어려우나,

    과로도 산재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통상 장시간 근로를 토대로 판단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훈 노무사입니다.

    일반적으로 과로의 경우 근로시간, 업무형태 등 업무강도와 관련된 부분을 입증하여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재해인 질병의 주된 발생원인이 업무와 직접 관련이 없다고 하더라도, 업무상의 과로가 질병의 주된 발생원인에 겹쳐서 유발 또는 악화된 경우에도 업무와 사망의 원인이 되는 질병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다고 평가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영 노무사입니다.

    과로로 인해 뇌심혈관 질환(심장마비, 뇌출혈 등)이나 정신질환(우울증 등) 등이 발생하였다면 산재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증빙자료로는 근로시간 관련 기록 및 의무기록을 필요로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

    과로도 산재대상이 되나 과로로 인해 심잘질환, 뇌혈관질환으로 이어져야 인정이 되며, 산재에서 고라라함은 질병 발병전 7일 내 업무량 또는 시간이 30% 넘게 증가한 경우, 질병발병 전 12주기간동안 업무시간이 7일 평균 60시간 넘는 경우 등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백승재 노무사입니다.

    네. 과로사 산재인정됩니다.

    단, 입증을 근로자가 해야 해서,

    직접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가까운 산재 전문 노무사 사무실을 방문하셔서 진행하시기는 것이 좋습니다.

    발병 전 24시간 이내 급격한 업무변화, 1주일 이내 단기간 업무 부담, 3개월 이상 장기간 과중한 업무를 수행하지 않았는지 등을 검토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수진 노무사입니다.


    과로로 인하여 업무상 질병이 발생한 경우에도 산업재해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이때, 과로와 업무상 질병 사이의 인과관계가 인정되어야 하므로, 해당 근로자의 실제 근로시간, 담당 업무의 강도, 업무 수행 환경, 업무량 변화, 기저질환 유무 등 다양한 요인을 검토하여 산재 승인 여부가 결정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