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속에서 숨을 쉬는 동물은 모두 아가미가 있나요?
물속에서 숨을 쉬는 어류의 경우는 아가미를 통해서 산소를 얻는데요, 어류를 제외한 동물의 경우에도 아가미를 가지고 숨을 쉬나요?
모두 아가미를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어류가 아닌 일부 동물도 아가미를 가지고 숨을 쉽니다.
대표적으로 양서류의 유생과 갑각류, 연체동물, 환영동물 그리고 곤충의 유생들입니다.
개구리나 도롱뇽 같은 양서류는 올챙이 시절에는 아가미를 가지고 물속에서 호흡하다가, 성장하면서 폐 호흡으로 전환되거나 피부 호흡을 겸하게 됩니다.
또 게나 새우, 가재 등 대부분의 갑각류는 아가미를 가지고 물속에서 호흡합니다. 갑각류의 아가미는 몸 안쪽에 위치하거나 다리 기부에 노출되어 있기도 하죠.
그리고 조개나 오징어, 달팽이 등 많은 연체동물도 아가미를 통해 호흡을 하고 갯지렁이같은 일부 수생 환형동물도 몸 표면에 돌출된 아가미 구조를 가지고 호흡합니다.
그 외 잠자리 유충이나 하루살이 유충 등 일부 수생 곤충의 유충은 아가미를 가지고 물속에서 호흡합니다. 이들의 아가미는 종에 따라 꼬리나 복부에 다양한 형태로 발달하죠.
안녕하세요.
연체동물, 갑각류, 양서류 등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오징어, 문어, 새우, 게 등입니다.
이들은 아가미를 통해서 물속에서 산소를 얻습니다.
참고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우선 꼭 다 아가미가 있는 것은 아니랍니다.
대부분 아가미가 있지만 이게 피부로도 같이 숨을 쉬기 때문이랍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물속에서 숨을 쉬는 동물이라고 모두 아가미를 가진 것은 아닙니다. 대부분의 어류와 일부 양서류, 갑각류, 연체동물 등은 아가미로 호흡하지만, 돌고래나 고래 같은 해양 포유류는 폐로 호흡해 물 밖에서 숨을 쉽니다. 또한, 일부 양서류와 수중 곤충 유충 등은 피부나 특수한 호흡 구조를 통해 산소를 흡수하기도 합니다. 감사합니다.
물속에서 숨을 쉬는 모든 동물이 아가미를 가진 것은 아닙니다. 양서류나 일부 무척추동물처럼 피부를 통해 물속의 산소를 직접 흡수하여 호흡하는 경우가 있으며, 수생 곤충 중 일부는 몸에 공기 방울을 붙여 이를 일종의 물리적인 아가미처럼 활용하거나, 꽁무니의 숨관을 물 위로 내밀어 직접 공기를 얻기도 합니다. 또한 고래나 돌고래 같은 해양 포유류는 물속에 살지만 아가미가 아닌 폐로 호흡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수면 위로 올라와 숨을 쉬어야 합니다. 이처럼 수중 생물의 호흡 방식은 아가미 외에도 피부 호흡, 폐 호흡 등 다양하게 나타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