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다래끼가났습니다.
일단 내복약과 안약 점안으로 치료를 해야합니다. 먹는약으로 치료하고 염증이 남는것은 절개배농을해야할수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다래끼와 같은 염증성 병변이 지속되는 상황이라 보입니다. 해결되지 않는 상태로 지속되므로 안과를 방문해보시기를 권해드립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올려주신 사진에서 병변이 뚜렷하지 않으나 증상으로 미루어 안과를 방문하여 전문의 진찰을 받고 치료를 받으실 것을 권합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결막염의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안과진료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결막염은 눈을 감싸는 점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이는 주로 눈이 붉어지고 간지러움을 동반하며 끈적거리는 분비물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바이러스성 결막염, 세균성 결막염, 알레르기성 결막염으로 구분되며, 주로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됩니다. 세균성 결막염은 포도상구균이나 녹농균과 같은 세균의 감염에 의해 발생하며, 바이러스성 결막염은 단순포진바이러스와 같은 바이러스로 인한 것입니다.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먼지나 꽃가루와 같은 알레르겐이 눈에 접촉하여 발생합니다.
증상으로는 눈이 붉어지고 간지러움을 느끼며, 끈적거리는 분비물이 나오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심한 경우 귀까지 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진단은 주로 의사의 진료와 문진을 통해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 현미경 검사가 수행될 수 있습니다.
치료는 세균성 결막염에는 항생제 안약을 사용하고, 바이러스성 결막염에는 증상 완화를 위한 치료를 합니다. 알레르기성 결막염에는 항히스타민제를 사용하여 염증을 줄입니다.
결막염이 있는 경우에는 다른 사람에게 전염될 수 있으므로, 수건은 개인용으로 사용하고, 콘택트렌즈는 일시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손을 깨끗이 씻고 눈을 마주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