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내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위통증과 소화불량 증상 악화, 당뇨와 관련이 있을까요?

성별
남성
나이대
34
기저질환
당뇨

1년전에는 위가아파서 처방약먹고나면 장시간 괜찬았습니다. 조금 아파도 약 먹고 좋아졌는데 지금은 한번아프몀 속도 안좋고 구역질하고 약 먹어도 금방 안좋아지고

10분지나서 고통이 더 합니다. 제가 당뇨가 있어서 그런부분도 작용 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지금은 당뇨약 복용 중입니다. 관련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최성훈 내과 전문의
    최성훈 내과 전문의
    고려병원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오랜기간 당뇨를 앓거나 혈당 조절이 잘 안되는 상태가 지속시 당뇨와 연관된 소화장애가 생길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갑자기 증상이 생겼다면 급성 질환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위내시경 검사와 약물치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식사 시 자극적이거나 기름진 식이를 피하고 균형잡힌 식단으로 천천히 꼭꼭 씹어 먹고 과도한 스트레스, 음주, 흡연, 카페인 섭취를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

    당뇨병과 기능성 위장장애와는 연관이 있을수 있습니다.

    당뇨병성 위병증은 당뇨병과 관련된 위 기능 장애, 수축력 저하, 전기생리학적 이상, 감각 신경 손상 등으로 인해 나타나는 복합 증상입니다. 이는 과거에는 위 배출 장애로만 여겨졌지만, 최근에는 정상 배출은 물론 배출이 증가하는 경우도 보고되고 있습니다.

    제1형 당뇨인의 20%, 제2형 당뇨인의 30%에서 당뇨병성 위마비가 관찰되며, 주로 소화하기 어려운 고형 음식의 위배출 시간이 지연됩니다. 증상으로는 식욕 부진, 식후 포만감 등 다양한 소화기 증상이 있으며, 위배출 지연의 정도에 따라 증상의 심각성이 달라집니다. 하지만 많은 환자들이 위배출 지연이 있어도 특별한 증상을 호소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전에 먹었던 음식을 토해내는 경우가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위배출 지연 없이도 당뇨병성 위병증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많으며, 비만한 제2형 당뇨인들 중 일부는 위배출이 촉진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증상만으로는 위배출 지연을 가진 환자들과 구별이 어렵습니다. 진단을 위해 혈액검사, 상부위장관내시경, 방사선 검사, 복부초음파, 위운동 개선제 반응 평가, 전산화단층촬영, 위배출 평가, 위 전기활성도 측정 등 여러 검사를 시행할 수 있으며, 정신적/심리적 요인도 평가합니다. 치료는 주로 위배출을 촉진하고 증상을 완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급성기에는 탈수와 당뇨병성 케톤증 예방을 위해 입원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식이 조절은 증상이 있는 경우에 중요하며, 섬유질과 지방이 적은 식사를 소량씩 자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위운동 개선제는 메토클로프라미드, 돔페리돈, 에리스로마이신 등이 있으며, 위석이 있는 경우 내시경적 시술로 제거합니다.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항우울제, 항콜린제, 클로니딘, 행동치료, 위 전기자극 등을 사용하여 관련 증상을 치료합니다. 당뇨병의 유병 기간이 길수록 다양한 위장관 증상을 경험할 수 있으며, 대부분 특별한 치료 없이 대증요법으로 호전됩니다. 증상 초기부터 다양한 검사를 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지만, 필요한 검사를 하지 않아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병원 방문 시 의사와 긴밀히 소통하며, 평소 몸 상태에 대해 메모해 두고 진료 시 문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하단의 추천 버튼을 눌러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당뇨로 인한 위장장애는 통증보다는 소화불량인 경우가 많습니다

    결국에는 당뇨관리를 잘 하면서 증상시 약물치료를 하는 방법이 최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