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 중 투자의 비중은 어떻게 정해야 하나요?
요즘은 재테크를 하는 경우가 많아졌는데요. 그러나 원금 손실에 대한 부담이 너무 큰데 월급에서 투자의 비율을 어떻게 정하는 것이 바람직할까요?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본인의 월급에서 투자 비중은 투자성향과 생애 주기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어야 합니다. 본인의 투자 성향이 공격 투자자라면 투자비중을 50%이상 설정해도 되지만, 안전추구형이라면 20%내외로 설정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또한 50대 이상이라면 투자비중을 많이 줄이셔야 하고 20~30대라면 투자비중을 높게 가져가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 생각됩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저는 두 개의 빌라를 가지고 있고 하나는 월세를 받고 하나는 전세를 놓았습니다 따박따박 올 때 들어오는 것으로 대출금을 갚고도 남습니다 시세는 올라가지요 이런 투자를 한다면 얼마든지 상관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주식이나 코인을 한다면 20% 이내나 안 할 것을 추천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투자를 결정을 할 때에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 해야 합니다. 단기적인 기간을 목표로 잡게 되면, 계속된 손실에 빠져나올 수가 없습니다. 주식 전문가도 첫 번째 투자에 많은 수익을 얻을 수 있지만, 두 번째 투자에서 많은 손실을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투자의 비중은 월급의 30%보다 높게 가져가는 것이 좋습니다. 어린 나이라면 더 공격적인 투자도 가능합니다. 이는 손실이 난다고 좌절 및 매도를 하지 마시고, 계속된 적립식 투자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장기적인 투자는 하루하루 주가 변동에 휘둘리지 않고, 적금하듯이 성실히 투자하는 것입니다. 그렇지 않고 단기매매는 하루하루가 힘든 감정을 갖고 갈 확률이 높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월급 중에서 투자의 비중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월급이 얼마인지가 중요합니다.
다만, 일반적으로 월급에서 20-30퍼센트는 투자나 저축을
해야 할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시호정 경제전문가입니다.
먼저 월급에서 3~6개월의 생활비를 비상금으로 항시 확보하고 있어야 합니다.
그 외에 월급의 70%를 투자 비용으로 잡는다고 한다면
10~20%는 달러 또는 금과 같은 안전자산에 투자, 20%는 미국 배당 ETF, 20%는 국내 배당 ETF
10%는 가상화폐에 투자하시는 것이 건전한 포트폴리오가 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월급에서 저축과 투자에 대한 비율은 결국 본인 투자성향을 파악하고 본인 결정해야 하는 부분입니다
중요한건 월급에서 고정지출 비용을 뺀 나머지 가용현금 중에서 얼마만큼 저축과 투자에 할당을 하냐인데요
보통 50프로 이상을 추천하고 많이 하시는 분들은 70-80프로까지 하시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저축과 위험자산에 대한 투자비중은 투자자 성향따라 20-70프로 정도로 비중 조절을 하는게 맞을거 같단 생각을 하구요
투자자가 안전자산 추구형이면 위험자산에 20프로 정도 위험자산 추구형이면 70프로 정도면 좋을거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의 투자 성향에 따라서 비율이 달라질 수 있는데, 공격적인 투자성향을 가지고 계신다면 월급에서 가용할 수 있는 자산 중 약 80%를 투자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반대로 안전 지향형 투자자라면 약 20%정도만 투자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개인의 투자 성향입니다.
위험을 감수하는 정도에 따라 투자 비중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는데요.
고수익 고위험, 저수익 저위험 등 본인의 투자 성향에 따라 이 비중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본인의 상황에 따라 30%~50%까지 투자 비중을 결정하시면 됩니다.
모쪼록 투자에서 건승하시길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