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언제나 당신 편입니다. 홍콩과 싱가폴은 주거 문제가 심각합니다. 둘다 집값이 너무 비싸서요. 어떻게 해결 하는 것이 좋을 까요?
안녕하세요. 언제나 당신 편입니다. 홍콩과 싱가폴은 주거 문제가 심각합니다. 둘다 집값이 너무 비싸서요. 홍콩은 높은 주거 비용과 주택 부족 문제를 겪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작은 주거 공간에서 생활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싱가포르도 주거 문제를 겪고 있습니다. 주택 가격이 매우 높아 많은 사람들이 경제적 부담을 느끼고 있습니다. 어떻게 해결 하는 것이 좋을 까요?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해당 국가 모두 인구밀도가 매우 높은 나라에 해당됩니다. 즉 인구대비 주택수가 부족할수 밖에 없고 그에 따라 주택의 가격도 매우 높을수밖에 없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을 위해 공급을 늘리는 것도 제한이 될수 밖에 없기에 사실상 쉽게 해결이 가능한 부분이 아닙니다. 다만 싱가폴의 경우 토지임대부 반값아파트 도입과 이를 유지가능토록 장기간 정책으로써 토지국유화를 성공함으로써 어느정도 안정화가 되었다고 할수 있습니다. 사실상 토지가격의 상승이 분양가 및 주택가격상승을 부축이는 이유가 되기에 토지에 대한 국유화가 좋은 대책이 될수는 있지만, 자본주의체계에서 해당 정책을 운영하기에는 많은 갈등이 예상되기에 이를 보완, 보상가능한 대책과 장기적인 관점으로 접근이 필요한 부분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홍콩은 집값의 폭등으로 좁은 집에서 사람들이 거주하며 문제가 많지만, 싱가폴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서민주택의 천국이라는 별명을 얻은만큼 주택 정책이 잘되어 있습니다. 싱가포르는 주택 자가율이 90%가 넘고 국민의 80%이상이 주택개발청에서 공급한 토지 임대부 주택에서 살고 있으며 2024년 아파트 평균 가격은 6억6천만원(62만 싱가폴 달러) 정도였으며 평생 2번 구입할 수 있습니다. 토지의 90%가량이 국유화 되어 토지는 99년간 임대하며 분양가에 토지 임대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공공주택을 분양받으면 우리나라의 국민연금 비슷한 제도를 통해 주택 가격의 10%만 현금으로 지불하고 나머지는 주택개발청의 융자를 통해 장기 할부를 할 수 있으며, 저소득층은 집값의 40%까지 정부에서 지원을 해줍니다. 5년 거주후 매매를 허용하는데 일정한 부담금만 내면 시세차익을 허용하고 민간주택 구입시 양도세가 면제됩니다. 특히 30년 집권한 리콴유총리가 일관되게 정책을 추진하였고 이후 정부도 정책을 계승한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홍콩과 싱가폴은 인구밀도가 세계에서 가장 높은 도시 국가입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며 용적률을 상향하고 공공임대 주택을 공급해야 합니다.
여러 부동산 정책을 펼치더라도 토지 공급의 한계는 있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언제나 당신 편입니다. 홍콩과 싱가폴은 주거 문제가 심각합니다. 둘다 집값이 너무 비싸서요. 홍콩은 높은 주거 비용과 주택 부족 문제를 겪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작은 주거 공간에서 생활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싱가포르도 주거 문제를 겪고 있습니다. 주택 가격이 매우 높아 많은 사람들이 경제적 부담을 느끼고 있습니다. 어떻게 해결 하는 것이 좋을 까요?
==> 주택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주택을 공급하는 것이 우선이고 서민층 주거지원을 위한 금융지원 등이 우선입니다. 그러나 홍콩 등과 같은 곳은 주택을 공급할 수 있는 토지가 부족하여 만성 주택난에 시달리고 있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싱가포르는 나름 자국민들은 주택을 구입하는데 혜택이 많이 주어진다고 합니다
실질적인 집주인은 오로지 국가이며 구매한 주택은 영구임대의 형태로 된다고 합니다
우리나라는 잔금을 다 치러야 입주를 할수 있는데 그곳은 집값의 20%만 치러도 입주를 할수 있고 여러가지 정부혜택도 있고 대출이 40년까지도 상환 가능하다고 합니다
그래서 현재 국민의 86%HDB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으며 이중 92%가 자가 소유라고 합니다
또 싱가포르는 공용아파트라도 우리나라보다 좋고 다주택자에게는 엄격한 법을 적용시키고 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홍콩: 홍콩 정부는 공공 임대주택(공공 임대 아파트) 공급을 늘리고 있지만 속도가 더딥니다. 토지 공급을 확대하고, 개발 절차를 단축하여 더 많은 공공 주택을 신속히 제공해야 합니다.
싱가포르: 싱가포르는 이미 HDB(공공주택) 정책이 잘 되어 있지만, 젊은 층과 중산층을 위한 더 많은 보조금과 새로운 형태의 저렴한 주택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무엇보다 공급을 늘리는것이 가장 좋은 방법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