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아이의 말을 우선적으로 믿어주는게 좋을까요?

아이와 함께 있던 친구가 놀면서, 아이와 다툼 이야기를 나누는 과정에 있으면, 어떤 식으로 문제 해결을 하시나요? 양쪽 이야기를 들어도, 통일되거나, 하나의 이야기로 결론이 나오지 않을땐 어떻게 해야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우선은 양쪽 아이의 말을 들어주고 충분히 공감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무조건 내 아이의 말에 집중하기보다는 중립적인 입장을 취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리고 아이들이 친구의 입장에서 생각해볼 수 있도록 이야기를 나눠본 후

    '그럼 이제 어떻게 하기를 원하니?'라고 물으면

    아이들이 친구에게 무슨 말을 해야 할지를 말하게 될 것입니다.

    어떻게 보면 아이들 스스로 상황을 인지하고 입장 바꿔 생각하게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힘을 키워주는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친구와 함께 활동을 하면서 마찰의 갈등이 생겼다면

    우선 아이의 이야기를 들어보는 것이 먼저 입니다.

    아이의 이야기를 들을 때는 경청이 가장 중요 한데요.

    여기서 포인트는 우리 아이 뿐만 아니라 상대 아이의 마음을 이해 하면서 이야기를 들어보는 것입니다.

    우리 아이, 상대 아이의 시선으로 바라보고 우리 아이와 상대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고, 우리 아이와 상대 아이의 감정을

    충분히 공감한 후에 서는 이렇고 후는 이렇다 라며 우리 아이와 상대 아이의 잘못된 점을 짚어주고, 왜 이러한 부분이

    잘못 되었는지 그 이유를 설명을 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말을 우선적으로 믿어주는 태도는 아이의 정서적 안정과 신뢰형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아이가 어떤 상황에서든 자신의 감정과 경험을 솔직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하려면, 우선 부모나 보호자가 아이의 말을 진심으로 들어주고 존중해주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이는 무조건아이의 말만 믿는다는 의미가 아니라 아이가 느낀 감정과 시각을 먼저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공감해주는 태도가 필요해요

    아이와 친구간의 다툼이 생겼을 때, 양쪽 이야기를 듣는 과정에서 서로의 말이 달라지고 진실을 단정하기 어려운 상황이 종종생깁니디ㅏ

    이런 경우에는 누가 옳고 그르냐를 서둘러 판단하기보다, 각각의 입장에서 어떤 감정이 들었고 어떤상황이 벌어졌는지를 차분히 들어보는 것이 우선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건 아이의 성향이나 평소 아이의 말에 대한 신뢰도를 고려하는 게 필요합니다. 아이가 종종 거짓말을 하거나, 본인에게 유리하게 말을 하는 성향, 혹은 과장되게 말을 하는 경향이라면 그 부분에 있어서는 단호하게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이의 성장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양쪽의 말이 다르면, 판단하려고 하기보다는 서로 주의할 점을 읊어주고 앞으로 문제가 일어나지 않으려면 서로 어떻게 해야 할지, 등 앞으로의 문제 해결에 초점을 두어 대화를 나누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말을 무조건 믿기 보다는, 우선 양쪽의 의견을 듣고 이해와 공감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결론이 나오지 않는 다면, 누구 편을 먼저 들어 주기 보다는 미리 정해 놓은 약속과 규칙을 이야기 하고 분명히 해주세요.

    그리고 아이들과 함께 의견을 나누면서 해결 방법을 찾는 것이 좋겠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 사이 갈등으로 양쪽 이야기가 다를때는 아이의 말부터 믿어주는 태도가 매우 중요합니다. 다만 무조건 아이 편만 드는 것과는 구분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