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안과 이미지
안과건강상담
안과 이미지
안과건강상담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24.03.13

눈이 노랗게 되는 황달증상은 어디에 문제가 생기면 나타나는 증상인가요?

나이
47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제가 들은 게 맞는지는 모르겠지만 췌장에 문제가 생기면

황달증상이 생긴다고 어디서 들은 거 같습니다.

최근에 만난 지인 분이 얼굴이 핏기가 하나도 없이 노래보여서

황달 증상 아닌가 해서요. 간경화를 앓고 있거든요.

간기능이 떨어져도 황달증상이 나타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황달은 혈중 빌리루빈 수치가 높아져 피부나 눈의 흰자위가 노랗게 변하는 증상입니다. 황달은 간 질환뿐만 아니라 담도 질환, 췌장 질환, 용혈성 빈혈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간경화는 간 조직의 섬유화와 재생 결절이 발생하여 간 기능이 저하되는 만성 질환입니다. 간경화가 진행되면 간에서 빌리루빈 대사에 문제가 생겨 황달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간경화로 인한 황달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1. 간세포 손상으로 빌리루빈 대사 능력이 떨어질 때

    2. 간내 담즙정체로 빌리루빈 배설이 원활하지 않을 때

    3. 문맥압항진증으로 간문맥 혈류가 감소할 때

    따라서 간경화 환자에서 황달이 나타난다면, 간 기능의 저하나 합병증 발생을 시사하는 징후일 수 있습니다.

    만성 간 질환 환자가 황달 증상을 보인다면 신속히 의료진과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규칙적인 검진을 통해 질환의 진행 상태를 확인하고, 간 기능 보호를 위한 생활습관 관리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황달은 몸에 쌓인 빌리루빈이 눈의 흰자와 피부를 노랗게 변하게 만드는 질환입니다. 빌리루빈은 주로 적혈구 파괴로 인해 생성되며, 간에서 처리된 후 담즙으로 배출됩니다. 그러나 빌리루빈의 양이 증가하거나 간의 기능이 저하되면 빌리루빈이 몸에 쌓여 황달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황달의 원인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 빌리루빈이 간에서 처리되기 전에 이미 증가한 경우로, 용혈성 질환이나 적혈구 형성 이상 등이 해당됩니다. 둘째, 간 내부에서 빌리루빈의 대사나 배출이 감소한 경우로, 유전성 질환이나 간염, 약물 복용, 간경화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셋째, 간에서 배출된 후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로, 암이나 결석, 담도 폐쇄 등이 해당됩니다.

    황달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혈액 검사를 통해 빌리루빈의 종류와 양을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간 기능 검사도 중요하며, 소변 검사를 통해 결합형 빌리루빈의 양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간 기능 검사가 정상이고 비결합형 빌리루빈만 증가한 경우에는 유전성 질환일 가능성이 크며, 간 기능 검사에 이상이 있고 빌리루빈이 함께 증가한 경우에는 간이나 담도 질환을 의심해야 합니다.

    간경변증이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황달 외에도 다른 증상이 함께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간기능 검사에서 담즙이 정체되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하며, 담즙이 정체되어 빌리루빈이 증가하는 원인으로는 담도의 결석이나 종양이 가장 흔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눌러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황달은 빌리루빈의 과다생성, 빌리루빈의 흡수, 결합과 분비 장애, 손상된 간세포나 담관으로부터 비결합 또는 결합 빌리루빈의 역류 등의 원인으로 발생됩니다.

    간경화나 간암과 같은 간질환이나 담도 폐쇄 외에도 용혈성 혈액 질환에서도 황달은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병관 의사입니다.

    황달은 체내의 빌리루빈 수치가 상승하면서 발생하게 됩니다. 간경화 환자에서는 간기능 저하되면서 빌리루빈 대사에 이상이 생겨서 황달이 생기게 됩니다. 췌장과의 연관성은 적고, 간경화 또는 담도가 막히는 (담도암이나 담도결석등) 질환에 의한 황달이 가장 흔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황달은 체내 빌리루빈 수치가 높아져서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빌리루빈은 간에서 대사되어 담즙으로 배설되는데, 간기능이 저하되어 대사능력이 떨어지거나 배설되는 담관이 막혀버린 경우 황달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간기능이 떨어지면 황달이 발생하고, 췌장암과 같은 이유로 담즙이 제대로 흘러가지 못하면 황달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채홍석 의사입니다.

    간경화 환자의 경우 황달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췌장암의 경우도 폐쇄성황달이 나타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잘 회복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