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금리인상을 또 했는데 향후 우리나라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FOMC에서 예상했던대로 또 0.25%를 올렸는데요. 역대 최고 금리차라고 하던데 이렇게 되면 안그래도 원화가치가 하락하고 있는 시점에서 금리차까지 점점 벌어지면 최악의 경기침체가 오는거 아닌지 모르겠네요. 향후 우리나라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은 이미 예정되어 있었고, 모두가 예측한 범위값인 0.25%의 금리인상이 이루어졌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앞으로 미 연준의 금리인상 기조가 완화되어 추가적인 금리인상 리스크가 거의 사라졌다 보니 한미간의 기준금리 격차는 최대 1.75% 범위내에서 움직이게 되면서 달러환율은 앞으로 점차 하락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보시면 좋습니다.
우리나라가 작년부터 미국을 따라서 기준금리를 인상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는 달러환율의 상승과 이로 인한 국내의 인플레이션 상승을 우려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더 이상 달러환율이 상승하지 않게 되면 미국을 따라 기준금리를 인상할 이유가 없어졌기 때문에 우리나라는 현재의 금리 수준을 유지하면서 우리나라 경제의 가장 큰 뇌관으로 자리잡은 부채리스크를 관리하는 것이 가장 현명한 대처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수출입에 의존하다가는 imf 꼴 못면합니다 지속적인 내수경제가 활발해져야하고요
내수경제를 위해서는 농업 제조업 발달과 인구증가가 기본적으로 되야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미국의 금리차가 상당하지만 우리나라가 금리인상카드를 사용할 가능성은 아직까지는 동결의가능성보다는 높지 않아 보입니다.
정책선택에는 그 효과적인 부분에서 긍정/부정적인 면이 둘다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선택하는 것은 어려우나, 아직까지는 국내 경기침체를 막기위한 동결의 카드를 사용하는게 더 유효한 카드일 것으롭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또한 미국과의 기준금리 등이
벌어지지 않고 달러화가 더 이상 급등을 막기 위하여
금리 등을 인상하는 것이 맞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