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고용·노동

임금·급여

멋진오색조159
멋진오색조159

일일 4시간 근무하는 일용직 연차발생수가 어떻게 되나요?

일용직인데 60세 이상입니다 입사한지 1년 3개월정도 되셨는데 일일4시간씩 주 5일 근무를 하십니다 저도 경리일을 시작한지 얼마 안됐는데 연차를 한번도 써본적이 없고 수당도 못 받았다고 합니다 일용직은 연차가 없는 줄 알았답니다

이런분들은 연차발생수가 어떻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대진 노무사입니다.

    단시간 근로자의 경우 근로시간에 비례하여 연차휴가를 부여합니다. 주 40시간 근로자의 경우 1일의 연차휴가는 8시간분의 통상임금 또는 평균임금을 받으면서 쉬도록 보장한다면 주 20시간 근로자의 경우 1일의 연차휴가는 4시간분의 통상임금 또는 평균임금을 받으면서 쉬도록 보장합니다.

    1년 미만은 1달 만근시 다음 달에 1개의 연차를 부여하고 1년을 초과하여 2년차에 해당한다면 15개의 연차를 부여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호병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드립니다.

    사례의 경우 일용직이 아니고 상용직입니다. 일용직이라고 하더라도 계속근무하면 연차휴가가 발생합니다.

    1년 3개월 근무한 경우 최대 26일의 연차휴가가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단시간 근로자로 보아 "20시간/40시간*8시간*연차휴가일수"로 산정하여 시간단위로 연차휴가를 부여하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단시간 근로자의 경우에도 연차 발생개수는 동일합니다. 따라서 1년간 80%이상 출근시 15개가 발생을 합니다. 다만

    40시간 근로자의 경우 연차 1개의 시간이 8시간이지만 질문자님의 경우 연차 1개의 시간이 4시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노무사입니다.


    단시간근로자일 경우 연차유급휴가는 시간단위로 부여하여야 합니다.

    통상근로자의 연차휴가일수 × 단시간근로자의 소정근로시간 / 통상근로자의 소정근로시간 × 8시간으로 산정할 수 있습니다.

    연차유급휴가에 관한 규정은 상시근로자수 5인이상 사업장에만 적용됩니다 .

  • 안녕하세요. 김지수 노무사입니다.

    하루 4시간 주 5일 근무하는 경우라면

    1년 만근 시 연차는 4시간짜리 연차가 15일치 발생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되세요.

  •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상시근로자 5인 이상 사업장이면 연차휴가가 적용됩니다. 1일 4시간 주 5일이면 연차갯수는 똑같고 연차 1개당 4시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