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진기한고니152
진기한고니15224.02.02

자도자도 계속 졸리고 피곤한 이유가 뭘까요?

나이
22
성별
여성

어떨때는 12시간이나 14시간씩 자거나 거의 매일매일 10시간 이상씩 자는데 아무리 많이 자고 일어나도 개운하거나 상쾌한적이 없고 계속 피곤합니다 왜이러는 걸까요?? 자면서 중간에 많이 깨서 그런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필요 이상 지나치게 오래 잠을 자도, 수면 중간 자주 깨는 경우, 수면에 드는 시간이 일정치 못한 교대 근무자나 수면 무호흡이 있는 경우에도 만성적인 피로에 시달릴 수 있습니다.

    결국 숙면을 취하지 못한 원인을 찾아 교정을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 되겠고, 혼자만의 노력으로 해결이 어렵다면 약물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장시간 수면에도 불구하고 계속 피곤함을 느끼는 상황은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수면의 양뿐만 아니라 수면의 질도 중요하며, 여러 요인들이 수면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중간에 자주 깬다면, 수면 주기가 방해를 받아 충분한 깊은 수면을 취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REM 수면과 비REM 수면의 주기를 완전히 거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면 중에 호흡이 일시적으로 멈추는 수면 무호흡증은 수면의 질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카페인이나 알코올의 섭취, 비정상적인 수면 스케줄, 스트레스, 전자기기의 밤늦은 사용 등이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갑상선 기능 장애, 빈혈, 당뇨병, 만성피로증후군 등의 건강 문제가 지속적인 피로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욱현 의사입니다. 수면이 질이 안 좋을 수 있어 카페인 음식을 섭취하지 않고 23시에는 수면을 하는 것이 좋고 수면 90분 전에는 화면을 보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관련 전공이 아니라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

    우선 수면의 질이 어떤지에 대한 평가가 필요할 듯 합니다

    -> 수면 무호흡 등으로 자주 깨거나, 주변 환경 문제로 푹 자지 못하는 경우 등

    -> 간혹 술 / 수면제를 복용하는 분들 중 , 수면 시간은 충분한데 피곤함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그 외에는 당뇨, 갑상선 질환 등의 내과적 질환 동반 여부나

    관련 투약, 우울증 등의 정신과적 질환 동반 여부 등에 대한 검사가 필요할 듯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