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굳센때까치29
굳센때까치2923.12.26

우리나라에서 언제부터 여권과 출입국심사 시스템이 적용 됐나요?

100년 200년 전에는 국가간 교류도 드물고, 체계적인 시스템이나 장비도 없어서 다른 나라를 방문하고 나오는 과정이 지금보다 훨씬 허술 했을 것 같은데요. 언제부터 우리나라에 출입국심사시스템, 여권처럼 신분 확인 절차가 도입 됐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2.26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출입국 심사의 역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출입국관리 역사는 1880년대 이후 부산, 인천 등의 항만에 출입하는 내·외국인을 관리하던 때로 거슬러 올라가며, 1954년 4월 20일 김포국제공항에 김포출입국관리사무소가 개청되면서 본격적인 출입국심사 업무가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개항 후인 1880년대부터 전통적으로 사용하던 빙표(憑標)와 집조(執照)를 해외로 출입하는 자국민들에게 발급했습니다. 빙표란 본래 증명서나 어음, 수표 등으로 각 항구의 감리서에서 해외로 도항하려는 조선인에게 발급하고 일정액의 수수료를 받았으며, 집조 역시 증명서로 내지통행증, 지계 및 납세증명서로 사용되던 양식이었습니다. 그러다가 개항이라는 새로운 변화에 맞춰 이전부터 사용됐던 집조와 빙표를 여행허가서 혹은 증명서로서 사용하기 시작했고, 각 개항장 감리서의 감리가 증명서 발급 업무를 관장했습니다.

    오늘날과 같은 여권은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1949년 12월 해외여권규칙에 따라 여권 발급 업무를 시작하면서 등장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한 민국이 처음 여권을 도입 한것은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인 1949년 12월 해외여권규칙에 따라 여권 발급 업무를 시작하면서 등장했습니다. 참고로 현재 보관되고 있는 가장 오래된 대한민국 여권은 1951년 이흥종 대위가 발급받은 여권인데 1961년 여권법 이 제정되면서 본격적인 여권 발급이 시작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오늘날의 대한민국 여권은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인 1949년 12월 해외여권규칙에 따라 여권 발급 업무를 시작하면서 등장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