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미국은 일본에 금리를 인상하라고 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최근 거의 20년동안 일본은 금리를 최대 0.5%로 적용하고 이상으로 올린 적이 없다고 들었는데
이번에 미국 재무장관이 일본에 금리를 인상하라는 압박을 했다는 기사를 본 적이 있습니다.
일본 금리는 미국과는 상관없을 것 같은데 미국이 왜 다른나라인 일본에 대한 금리압박을 하는
근본적인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본은 오랫동안 저금리 정책을 지속유지하고 있어 엔화가 상대적으로 약세 이며 미국과으 금리 차가 크게 벌어져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은 환율 안정을 위해 일본 금리 인상을 요구하고 있으며 현재 무역 불균형으로 미국 기업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인상 압박을 하고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은 일본에 금리를 인상하려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아무래도 일본이 약 20년 넘게 저금리를 유지하였기에
이를 인위적으로라도 인상하게 되라고
요구하고 있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은 현재 자국의 재정적자를 줄이고자 내부적으로는 시장금리를 줄여서 국채의 표면이자금리를 낮추는게 목적이고 반대로 수입은 줄이고 수출은 늘리려는게 목적입니다.
그리고 미국은 한국이나 일본등에서 상당수 수입을 하는 재화가 많습니다 그렇다면 일본의 낮은 금리가 그동안 엔화가치의 지속적인 구조적 하락을 불러왔고 그러다보니 지속적인 저금리 구조는 미국의 무역적자를 해결하기 힘들기 때문이라고 결론을 지은것입니다 그러다보니 일본에게 직간접적으로 금리를 올려서 엔화가치를 올리라는게 일종의 시그널로 보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은 엔화약세가 일본 수출기업에는 유리하지만 미국 수출 기업에는 불리하게 작용하면서 무역적자가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며, 이는 금융시장으로 이어진다고 판단하면서 금리인상을 압박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이 다른 나라인 일본 중앙은행에 기준금리를 인상하라고 압력을 가한 이유는, 미국은 일본이 물가 상승을 충분히 통제하지 못한다고 보면서 일본의 물가가 억제되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또한, 엔저가 지속되면 미국 제조업이 손해를 보고 무역적자가 확대되고, 일본의 초저금리 정책은 캐리 트레이드를 키워 신흥국 자산에 과도한 유동성을 흘려보냈고, 이는 시장 불안의 뇌관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결국 일본은행의 금리 인상은 달러 약세로 이어지기 때문에 미국에 좋다고 판단한 여러 복합적인 이유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