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법률

가족·이혼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부모 사후 혼외자가 나타난다면 상속 의무가 있나요?

부모가 사망하고 자식들 간에 상속 처리가 끝난 후에 혼외자가 등장하여 상속 의무를 주장한다는 기사를 본 적이 있습니다. 만약 이 경우처럼 부모 사후 혼외자가 나타난다면 상속 의무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성훈 변호사입니다. 혼외자가 인지청구 등으로 상속인 지위를 확인받는다면 그에게 상속분을 지급할 의무가 생긴다고 할 것입니다.

  • 만약 혼외자가 인지청구의 소를 제기하여 승소하신 경우라면,

    기존 상속재산분할협의 효력은 인정하고, 기존 상속인들을 대상으로

    혼외자분께서 상속분을 금전으로 보전청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상속분을 줘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진우 변호사입니다.

    네 혼외자에게도 상속권은 인정됩니다. 민법상 사망자의 친자녀라면 직계비속에 해당하여 모두 상속권이 있는 것으로 혼외자라고 해서 예외가 되지는 않습니다. 혼외자도 상속권이 인정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길한솔 변호사입니다.

    혼외자의 경우 부 또는 모를 상대로 인지청구의 소를 제기할 수 있고 그 소급효에 따라 출생시에 소급하여 효력이 인정되므로 부모가 사망하고 상속 관련 재산분할을 마친 후에도 이를 주장하여 다투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민법

    제863조(인지청구의 소) 자와 그 직계비속 또는 그 법정대리인은 부 또는 모를 상대로 하여 인지청구의 소를 제기할 수 있다.

    제864조(부모의 사망과 인지청구의 소) 제862조 및 제863조의 경우에 부 또는 모가 사망한 때에는 그 사망을 안 날로부터 2년내에 검사를 상대로 하여 인지에 대한 이의 또는 인지청구의 소를 제기할 수 있다. <개정 2005. 3. 31.>

    제860조(인지의 소급효) 인지는 그 자의 출생시에 소급하여 효력이 생긴다. 그러나 제삼자의 취득한 권리를 해하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