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부동산

강원도의빠워
강원도의빠워

40세 남자가 자신의 집이있는경우가 많나요?

40세 남자가 자신의 집이 있는경우가 많나요? 저는 서울 사는데요 제지인 중에서는 저포함 두명 빼고 다 자가가 있는데 혼자 자괴감이 들어서요 40세 남자가 자기 자신의 집이 있는게 당연한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에서 40대 남성의 주택 소유 비율은 약 24.1%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40대 남성 중 약 4명 중 1명이 주택을 소유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서울의 주택 소유율은 다른 지역에 비해 낮은 편입니다. 서울의 전체 주택 소유율은 약 47.9%로, 전국 평균보다 낮습니다. 이는 높은 집값과 생활비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주택을 소유하기 어려운 현실을 반영합니다. 따라서, 40세에 주택을 소유하지 못했다고 해서 자괴감을 느낄 필요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요즘 세상에 꼭 집이 있어야 행복의 조건은 되지 않습니다.

    집이 있다는 말은 대출이 있다는 말과 같은 말입니다.

    집없이 대출없이 저축이 많다면 그 또한 좋은 것입니다.

    사람들마다 개인의 라이프 스타일이 중요하지 다른 사람들이 다 한다고 꼭 내가 해야 할 필요는 없습니다.

    월세살면서 주식10억 정도 있고 주식 수입으로 생활을 하면서 외제차 몰고 다니는 사람도 많이 있습니다.

    꼭 성공의 필수조건이 집은 아닙니다.

    부동산은 상승기 꼭지에 팔고, 하락기에 사고, 하면서 시세차익을 올리면서 자산을 불리는 사람이 더 능력 있는 사람입니다. 감사합니다.

  • 집의 가치를 어느정도에 두느냐에 따라 다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신축 아파트처럼 비싼 집도 있고 일반 빌라들처럼 저렴한 집도 있습니다.

    생각보다 주거 안정을 추구하면서도 집 욕심 없는 분들도 많이 있습니다.

    40대에 가족이 있다면 자가 한채 정도는 있는게 심적으로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별점 5점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철 공인중개사입니다.

    40세 남자가 자가를 갖고 있지 않을 가능성이 더 높을 것같구요.

    설령 자가를 보유하고 있어도. 그 순가치(대출금제외)를 봐야할 것같아요.

    자가를 보유했어도 대출금을 갚느라 허덕이는 것보다는

    자가를 보유하지 않았어도 여유있는 삶을 사는것이...저는 좋긴한데...개개인의 차이인듯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입니다.

    40세 남자가 자신의 집이 있는경우가 많나요? 저는 서울 사는데요 제지인 중에서는 저포함 두명 빼고 다 자가가 있는데 혼자 자괴감이 들어서요 40세 남자가 자기 자신의 집이 있는게 당연한건지 궁금합니다

    ==> 연령이 40대 인 경우 안정적인 생활을 시작하는 시점이라 주택을 보유하고 있는 대부분이라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상황에 따라서다릅니다

    질문자 지인분들이 집장만을 빨리 하신거 같습니다

    아무래도 결혼을 빨리했으면 집장만에 관심이 많아 그쪽으로 신경을 쓰면 더빨리 장만하는편이고 그렇지 않다면 늦게 장만하는 편입니다

    지금 그나이 정도면 청약을 계속 두드릴거 같습니다

    부모님찬스가 아니고는 집장만이 쉽지않고 그나이에 집없는분이 더많습니다

    청약으로 꼭 집장만 하시기 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40세 남자가 집을 보유한 비율보다는 보유하지 못하는 비율이 훨씬 높습니다. 국민소득대비 집값이 너무높은게 사실이고 부모도움없이 직장생활하여 서울에 집을 장만하는것이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공인중개사입니다.

    40세 남성이 자신의 집을 소유하고 있는 경우는 많지만, 반드시 당연한 것은 아닙니다. 주택 소유는 개인의 경제적 상황, 직업, 지역, 가족 구성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서울과 같은 대도시에서는 주택 가격이 높아 자가 소유가 어려운 경우도 많습니다.

    또한, 자가 소유 여부는 개인의 삶의 질이나 성공을 판단하는 기준이 되어서는 안 됩니다. 각자의 상황이 다르므로, 비교보다는 자신의 목표와 상황에 맞춰 나아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한국의 경우 주택 소유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입니다. 2020년 기준으로 전체 가구 중 약60% 이상 자가주택을 소유하고 있습니다. 40세 남성의 경우 주택 소유율이 이보다 높은 경우가 많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