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어나고 100일 전까지 사랑을 못 받은것도 아이에게 영향을 미치나요?
몇일전에 이야기를 하다 보니 00이는 아주 갓난 아기때 부터 엄마랑 떨어져 있어서
사랑을 받지 못해서 자꾸 사랑해 달라고 이야기 하는거라는데
정말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는 태어나서 부터 만3세 즉, 가정보육의 시기가 끝날 무렵까지 아이에게 안정된 애착을 형성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아이의 안정감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안정된 애착은 부모와 아이 간의 신뢰감/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아이에게 부드러운 말투로 언어를 전달하고 다정스런 눈빛으로 아이를 마주보며 아이를 스킨십을 해주는 것이 아이의 안정감에 많은 도움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아이의 울음에 즉각적으로 대응 하여 아이의 불편함을 해소 시켜 주고,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잘 돌봐주는 것도 아이가 안정감을 가지는데 도움이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충분한 사랑을 받지 못한 경우는 말씀하신 것 같이 정서적으로 불안감이나 외로움을 잘 느끼고 결핍을 채우기 위해 다른 쪽에서 이상행동이 드러날 수도 있습니다. 물론 그렇지 않더라도 그런 어려움을 딛고 잘 자라는 아이도 많긴 한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아이가 사랑을 갈망한다고 해서 반드시 초기에 받은 결핍이 전부 원인일 필요는 없으며, 아이마다 발달속도와 필요가 다릅니다. 지금부터라도 아이와의 질 높은 관계를 쌓아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생후 100일 동안 사랑과 애정을 충분히 받지 못한 경험은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 시기 아이들은 부모나 주 양육자로부터의 신체 접촉, 응답적인 돌봄, 따뜻한 상호작용을 통해 기본적인 안정감과 신뢰를 배웁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음.. 보통 태어나고 100일 전후의 애착 경험은 아이의 정서적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아기들은 생후 초기, 특히 첫 몇 달 동안 부모와의 애착 형성을 통해 안정감과 신뢰를 배우게 됩니다. 만약 이 시기에 지속적으로 사랑과 애정이 결여되면, 아이는 정서적 안정감을 느끼지 못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로 인해 나중에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도 사랑을 요구하거나 불안감을 느끼는 행동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아이가 사랑해 달라고 이야기하는 것은 그러한 결핍을 채우고 싶어 하는 자연스러운 반응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부모의 애정과 돌봄이 매우 중요한 시기이며, 사랑을 주고받는 경험이 아이의 정서적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이 시기에 적절한 애정을 받지 못하면 정서적인 불안정, 애착 형성의 어려움, 심리적 스트레스 등의 문제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태어나고 첫 100일동안 충분한 사랑과 애정을 받지 못하는 것은 아이에게 영향을 미칠수 있습니다. 이시기는 애정어린 접촉과 안정된 보살핌이 아이의 신뢰감과 안정감을 형성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금방 태어난 아기 들은 시각은 발달 하지 못 했지만 청각과 후각은 매우 예민 합니다 모유 냄새만 나도 코을
벌름 거리며 엄마 쪽으로 쳐다 보게 되죠 청각도 매우 예민하여 소리로 엄마을 구분 합니다
당연히 뱃속에서 10달을 함께 있었으니 목소리만 들어도 엄마을 알수 있죠 아무래도 떨어져 있으면
엄마에 대한 그리움을 느낌으로 알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신생아의 경우 정서적, 신체적으로 매우 중요한 시기 입니다.
이때 부모로부터 충분한 애정을 받지 못한 경우 불안감이나 의존적인 성향을 보이는 경우가 있구요
그로 인해 사랑 받고 싶다는 욕구가 커질 수는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신생아 시절에 모든것을 모른다고 생각을 할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아이들이 말을 못할 뿐이지 모든 감정을 느낀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부모님께서 아주 각별하게 관심을 주시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아이들은 이때의 감정을 가지고 사랑을 갈구하기도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이들의 자아가 형성되기까지는 부모님께서 잘 케어를 해주시고 사랑으로 보살펴주시는게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