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징어의 먹물과 문어의 먹물은 성분이 서로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오징어와 문어 두 동물은 모두 위험이 닥치면 먹물을 뿜어내 위기를 벗어납니다 그런데 오징어의 먹물은 사람이 먹는데 문어의 먹물은 사람이 먹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두 성분이 다른가요?
네, 오징어의 먹물과 문어의 먹물은 성분에 있어서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먼저 두 가지 모두 멜라닌이라는 색소를 함유하고 있어 검은색을 띠며, 자외선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단백질의 종류와 함량. 그리고 함유된 아미노산의 종류와 함량에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가장 큰 차이는 점성입니다. 오징어 먹물은 문어 먹물보다 점성이 더 강한 편입니다. 이는 오징어가 먹물을 이용해 포식자를 혼란시키고 도망치기 위한 방어 기작 때문입니다.
그리고 문어 먹물 요리가 흔하지 않은 이유는 문어 먹물은 오징어 먹물에 비해 채취하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또 일반적으로 문어가 오징어보다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문어 먹물 역시 가격이 높습니다.
즉, 문어 먹물을 먹지 않는 것이 아니라, 채취도 힘들고 가격도 높은데 비해 맛의 차이는 크지 않기 때문이죠.
결론적으로, 오징어 먹물과 문어 먹물은 둘 다 멜라닌을 주성분으로 하지만, 단백질, 아미노산 등의 함량과 점성 등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오징어와 문어의 먹물은 성분이 약간 다릅니다. 둘 다 멜라닌과 점액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위장과 방어 목적으로 사용되지만, 문어 먹물에는 더 강한 화학적 성분이나 맛의 차이가 있어 식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오징어 먹물은 비교적 부드럽고 요리에 사용해도 맛과 향이 어우러지는 반면, 문어 먹물은 쓴맛과 비린맛이 강해 요리에 잘 활용되지 않습니다. 이는 두 생물이 환경과 방어 메커니즘에서 약간 다른 적응을 했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오징어의 먹물은 보통 끈적끈적해서 달라붙는데, 뮤신이 들어있기때문입니다.
문어먹물은 물에서 금새퍼지는 특성이있고 오징어먹물만큼 달라붙지는 않습니다. 금새퍼지게하는 효소가 들어있습니다.
이처럼 두 동물은 서로다른성분을 지닌 먹물을 이용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오징어먹물은 멜라닌색소와 뮤코단백질이 들어있어 먹물이 상대방에게잘 달라붙게만듭니다.
문어는 멜라닌색소와 티로신이 들어있어 물속에서 빠르게 퍼지고 시야차단효과가 빠르게 나타납니다.
이외에도 향과맛이달라 서로다른요리에 활용되기도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오징어와 문어의 먹물은 모두 방어 수단으로 사용되며, 두 먹물의 주요 성분은 멜라닌(melanin)이라는 색소입니다. 이는 오징어나 문어가 먹물을 뿜을 때 짙은 색을 띠게 하는 요소입니다. 또한 먹물에는 티로시나제(tyrosinase)라는 효소가 포함되어 있어 멜라닌 생성을 촉진합니다. 하지만 오징어와 문어의 먹물은 각각 다른 화학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기능과 성질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오징어의 먹물은 식용으로 사용되며, 독성이나 유해 성분이 없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오징어 먹물은 주로 해산물 요리나 파스타 소스 등에 사용되며, 그 풍미와 짙은 색상이 요리에 독특한 감칠맛과 시각적 매력을 더해줍니다. 오징어 먹물은 인간의 건강에 무해한 것으로 간주되어 다양한 요리에서 활용됩니다.
반면, 문어의 먹물은 오징어 먹물에 비해 특정 성분이 더 복합적으로 포함되어 있으며, 그 중 일부는 인간에게 위장 장애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문어 먹물에는 세피아 잉크(sepia ink)성분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미생물 활동에 대한 저항성을 제공하지만, 인간이 섭취할 경우 소화계에 자극을 줄 수 있는 잠재성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문어 먹물은 식용으로 권장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요리에서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주로 두 동물이 속한 생태적 위치와 방어 전략의 진화적 차이에서 비롯됩니다. 문어는 더 복잡한 환경에서 다양한 포식자를 피하기 위해 먹물의 방어적 특성을 극대화했으며, 그 결과 먹물 성분도 다소 독성을 띠는 방향으로 발달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