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잉잉이
잉잉이24.01.29

5세 빠른아이 어린이집 vs 유치원 고민입니다

안녕하세요~

만 48개월 1월생 5세 남자아이 엄마입니다

현 어린이집 다닌지는 작년에 처음 다녔고

또래경계 및 위험회피성향으로 아이가 처음 적응은

어려워했으나 적응하니 잘다니다가 1월초까지만 해도 어린이집 좋다고 웃고 있는 사진도 많았는데 현재 갑자기

2-3주전부터 등원거부가 시작되서 내내 우네요 ㅠㅠ

월요일이면 화수목금 남았네~말하면서 토요일만 오길 기다리고 엄마아빠랑 같이 있고싶다. 집에있고싶다란 말 많이해요....

아이는 1월생이고 인지나 언어는 빠른편이고..특히나

언어면은 더 빠른것 같습니다 부모랑 상호작용하면서

노는 역할놀이도 잘하구요~ 어린이집 선생님께서도

아이가 인지나 언어는 또래에 비해 정말 빠르고 아는게 많다고 하셨는데 사교성이 부족해서 아직 또래에 다가가는법이나 말을 걸거나 하진 않아요~ 아이에게도 집에서 제가 친구가 되어 여러 상황극을 통해 말거는법, 등등 알려주는데 다 대답도하고 알지만 어색해하거나 부끄러워하구요.. 문제는 처음 이 어린이집을 다닐때부터 13명정도의

아이들이 있지만 생일이 하반기인 아이들이 많아서

발달차이가 크더라구요~ 인지나 언어가 떨어지는 친구도

있고.. 제 아이가 발달이 젤 빠릅니다.. 그러면서 지금 더 맞는 친구가 없는거 아닌가싶어요 ㅠㅠ 아이는 사교성만 부족하지 차분하고 정적이라서 손가는게 없어요.. 기저귀도 다 뗐구요..

어린이집 등원거부가 2-3주 되면서 아이한테 물으니

엄마랑 떨어지는게 슬프다.. 엄마보고싶어서 그렇다고

그러면서 우는데 가면 혼자서 진정한다하고 금방 그치고

자유놀이하고 논다네요.. 집에선 역할놀이를 좋아하는 아인데 가면 거의 자유놀이라 혼자 놀고, 친구들이 다가와도 어색해서 같이 앉아있지만 서로 놀진않아요.. 선생님께도 같이 놀게끔 해달라하니 적극성을 보이면서 놀게끔 해주진 않습니다 ㅠㅠ

아이 의사가 중요하며 친구랑 같이놀래? 하면 당연히

아이는 아니요.. 하는데 같이노는게 될까요 ㅠㅠ

아이한테 뭐하고 놀아서 재밌었는지, 뭐했는지 물으면

모른다고 하고 재밌었냐 물으면 재미없었다하고 회피하긴 하네요 ㅠ 선생님이 좋다던지 하는말도 다니면서 없구요

엄마는 어린이집생활이 행복하고 재밌으면 좋겠다고 재밌냐고 물으니 아이는 재미가 없다고.. 어린이집이 신발장도 좁고 교실도 좁고 답답하다고 말을 하더라구요 ㅠㅠ

어린이집이 좁고 실외놀이터도 작은 편입니다..

아이가 낯가리고 초반 적응에 어려움이 있고 또래에 경계가 있지만 사교성을 높이려면 유치원으로 옮겨야할까요?

현 어린이집이 소규모라서 15:1, 유치원 24:2

아이가 친구를 사귈려면 기존에 다녔던 곳이고 소규모가 낫겠다 싶었는데.. 친구들이랑 인지,언어 부분이 차이가 있어서 걱정입니다..저희아이처럼 빠른애가 없어요.. 그러면 이 사교성부분이 달라질 수 있는건지 ㅠㅠㅠ 교실규모도 지금 반보다 좁고.. 선생님들도 유교과 출신보다는 40대이상 나이드신분들이 많아요...

적극성보단 자유놀이 추구하시고 친구랑 같이 놀게끔 유도해주실지도 의문입니다...

유치원을 가면 또 아이들이 많아져서 치일지 의문이구요ㅠㅠ 사교성을 택한다면 어디가 나을까요...

아이가 낯을 가리고 그래서 당연히 어린이집 있으려다가

개월수차이라던지, 기관의 환경차이, 선생님 역량차이가 고민이네요 ㅠ

현 어린이집 등원거부가 계속 되니 걱정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어린이집에 거부하는 이유는 친구와 담임 선생님과 상호작용이 되지 않고, 수업에 대한 흥미가 적어서 일 것입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가 친구와 담임선생님과 상호작용이 될 수 있도록 도와주셔야 합니다.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도와줄 수 있는 방법은 가정에서 역할극을 하면서 상황에 맞는 언어와 행동을 알려주도록 하세요,

    그리고 학습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유도해 주는 방법은 놀이와 게임 형식으로 학습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유도해 주셔야 합니다.

    담임 선생님과 주기적인 상담을 통해서 아이가 원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가정과 연계를 잘 하여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어린이집에 계속해서 등원 거부를 한다면, 담임 선생님과 어린이집 생활 전반을 점검해 보셔야 합니다

    어떤 이유에서 등원 거부를 하는지 원인 해결을 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린이집은 자유선택 활동 시간이 많이 때문에 아이들이 노는 시간이 많은 반면에 유치원은 프로그램이 많기 때문에 아이들이 조금은 바쁘게 생활하게 됩니다.

    적응하는 데는 유치원이 힘들 수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타아이에비해인지가높다면

    또래에적응하기어려울수도있답니다.

    아이가부모랑잘논다면 사회성이부족하기보다는

    아이가또래에맞추어 노는것을못해서그럴수있기에

    이런점을선생님에게이야기하여아이에게

    맞춰놀이를하면좋아질겁니다

    이는 원의차이보단 선생님역량이클겁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중요한것은 자신과 맞는 환경인듯합니다.

    아이가 발달이 빠르고 한다면 어느정도 아이에게 있어 교육적인 활동이 들어가는것이 더욱 재미있고 흥미를 느낄수있기에 개인적으로는

    유치원에 가는게 좋을수도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