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 사경과 되집기의 연관성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94일차 아기이고 원래 터미타임을 잘 했었는데 최근 며칠간 오른팔을 자꾸 빼고 왼쪽팔로만 지지를 하려다 보니 고개랑 몸이 왼쪽으로 기울어요. (아기기준)
초음파를 아직 보진 않았지만 만졌을때 느껴지는 멍울은 없구요.
근데 이 사진을 찍고 나서 갑자기 되집기를 합니다. 아직 숙달된건 아니고 이후에 한 세번정도 되집기를 했어요.
다음주에 병원 진료 예정이지만 걱정이 되는데 이 자세가 되집기를 하기 위한 빌드업 자세라고 봐도 될지, 아니면 사경이라서 고개가 기우뚱하다보니 몸이 같이 기울어지는건지 모르겠습니다.
서론이 길었네요.
1) 고개가 중앙에 있고 터미타임을 잘 하던 아기가 갑자기 사경으로 인해 고개가 기울어질수도 있나요?
2) 사경이 아닌데 되집기를 하려고 자세가 기울어지는경우도 있나요?
3) 진료볼때 기울기 각도를 확인한다고 하는데 이 부분은 어떤식으로 확인을 하는건가요? (육안으로 하는건지 확인하는 장비가 있는건지)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일시적인 자세 문제에 의해서도 나타닐 수 있지만,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경우에는 사역의 발생 가능성이 있습니다.
되집기를 시도할 때 자세가 기울아지는 갓은 자연스러운 현상일 수 있는데요, 몸을 뒤집으려 할때 특정한 방향으로 힘을 주어 치우쳐 보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머리의 위치나 회전범위, 좌우대칭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필요시에는 장비를 통한 영상검사를 진행할 수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강록 물리치료사입니다.
1) 고개가 중앙에 있고 터미타임을 잘 하던 아기가 갑자기 사경으로 인해 고개가 기울어질수도 있나요?
사경은 후천적으로도 환경에 의해 나타날수도있기에 지금은 사용 패턴이 왼쪽으로 쏠리는지, 사경의 초기 증상인지는 확인이 어렵습니다.
2) 사경이 아닌데 되집기를 하려고 자세가 기울어지는경우도 있나요?
아무래도 아기들은 사용하는 패턴이 한쪽으로 되어있기에 지금과 같은 상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진료볼때 기울기 각도를 확인한다고 하는데 이 부분은 어떤식으로 확인을 하는건가요? (육안으로 하는건지 확인하는 장비가 있는건지)
보통 육안으로 관찰, 흉쇄유돌근 촉진, 관절가동벟위 검사, 초음파 검사 등 여러 방법이 있습니다.
저도 아기를 키우다보니 여러 상황에 있어서 걱정이 되는 상황들이 많습니다.
다만 너무 걱정마시고 환경, 놀이, 육아 등 충분히 잘해주신다면 아이도 건강히 크니 걱정하지마시길 바랍니다.
곧 병원 예정이라고 하셨으니 내원 전 현재 걱정되는 부분, 아기가 뒤집기 되집기 하는 영상 등 준비를 잘하셔서 진료 때 참고 해주시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사경은 갑자기 나타날 수 있으며 잠자는 자세나 외상, 긴장성 사경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되집기를 시도하는 초기 자세에서 몸 한쪽으로 무게를 실으며 기울어지는 건 흔한 발달 과정입니다.사경 진료 시 육안 평가와 촉진, 필요하면 초음파로 근육 두께 및 섬유화 여부를 확인합니다. 지금은 사경과 발달 모두 염두에 두고 의심 시 조기 물리치료가 중요하니 정확한 평가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