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정형외과

때론순진한아보카도
때론순진한아보카도

뒷목에 후두 신경통이 있어요……..

성별
남성
나이대
10대

뒷목이 아파서 찾아보니까 후두 신경통이라는 병이더라구요..가끔 그러는데 왜이러는건가요??? 컴퓨터 게임할때 자세가 안좋은데 이게 원인일까요 아니면 뇌에 문제가 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후두신경통은 주로 목 뒤 근육긴장, 거북목 나쁜 자세, 스트레스 등으로 후두 신경이 압박 자극되며 발생합니다.

    컴퓨터 게임처럼 고개를 오래 숙이는 습관이 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드물지만 뇌종양 혈관 문제 같은 중추 신경계 이상에서도 유사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자주 반복되거나 통증이 심하면 신경외과나 신경과 진료를 받아 확인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뒷목통증이있다면 근육의긴장이나 불균형등에의해서 생기는 문제일수있는데요 머리뒤쪽근육의 과긴장은 두통이나 어지럼증, 눈침침함등을 유발할수있습니다

    따라서 평소 스트레칭과 마사지를 적용하면서 관리하는것이 중요한데요

    유튜브를참고해 따라해보시고 그래도 증상이 호전되지않는다면 병원에서 추가적인검사와치료를받아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ㅏㄷ~!

  • 안녕하세요. 이동진 물리치료사입니다.

    뒤목 통증으로 불편이 있으시군요.

    장시간 앉아서 컴퓨터를 하시거나 목을 앞으로 숙이고 핸드폰을 하는 등 좋지 않은 자세나 습관은 목 주변 근육을 과긴장시켜 통증을 유발시킬 수가 있습니다.

    증상이 지속되거나 심해지신다면 정형외과나 신경외과에서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강록 물리치료사입니다.

    우선 현재 질문자님께서 겪고계신 증상으론 후두 신경통을 판단 할 수 있지만 가장 정확한것은 병원에 내원하셔서 검사 및 진찰을 통한 전문의에 감별 진단을 받으시는게 좋습니다.

    보통 지금과 같은 증상은 근골격계 문제(바르지 못한 자세, 근육의 과사용, 근육의 과긴장, 신경의 압박 등)를 의심해볼 수 있으며 스트레스도 하나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평소 바른 자세를 유지하시고 목과 같은 근육을 평소에 가볍게 마사지 및 스트레칭을 해주시길 추천드리며 온찜질을 하면서 근육을 이완 시켜주는것도 좋습니다.

    통증이 극심해지거나 통증이 잦다면 병원에 내원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뇌에 문제가 있는지 여부는 확인을 해보셔야 합니다.

    하지만 많은 경우 경추부위 근육에 후두신경이 압박이 되면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게임할때 자세가 안좋은데" 이로 인하여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많습니다

    Greater Occipital Nerve - WikiSM (Sports Medicine Wiki) 에서 캡처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후두신경통은 후두신경이 압박리되어 나타나는데요, 스트레스나 근육의 긴장등에 의해서 많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질문자분의 경우에는 정확한 병명이 진단된 것은 아니고, 두통이 느껴지시는 것으로 생각되는데요, 긴장성 두통에 가까울 수 있고 자세나 생활습관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이를 개선해보시면 좋겠습니다.

  • 후두부 쪽의 신경통의 경우 신경성으로 두통이 발생하는 것인데 관련하여서 가장 흔한 유발 요인은 자세 불균형 및 근육 긴장입니다. 고개를 앞으로 빼는 거북목 자세, 장시간 앉아 있는 것, 의자에 기대지 않고 숙이는 자세 등이 구체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좋지 않은 자세들에 해당합니다. 컴퓨터 게임을 할 때에 주로 취할 수 있는 자세들이며, 그것이 유발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관련하여서는 교정을 해보는 것이 도움이 될 수도 있겠습니다. 교정을 통해서 해결이 되지 않는다면 다른 유발 가능한 요인들이 있는지 어떠한 문제가 있는 것인지 등 감별을 위해서 구체적으로 신경과 진료 및 검진을 받아보는 것이 도움이 될 수도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