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이 오르면 수출이 유리하다는데이유가 뭔가요
환율이 오르면 해외여행 비싸진다는건 알겠는데, 왜 기업들은 좋아하는건지 모르겠습니다. 수출기업한테는 유리해지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환율이 오르게 되면 달러화가 강세가 됩니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대부분의 국가들은 달러, 위안화, 엔화, 유로화 등 대표통화로 거래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예를 들어 달러로 거래를 한다면, 계약당시보다 달러의 가치가 높아진다면 그대로 원화를 상대적으로 더 많이 받을 수 있다는 뜻이 됩니다.
이에 따라 환율이 오르면 수출에 유리하다고 언급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
해외여행시에는 해외에서 달러를 지불해야 하다보니 환율이 높으면 비용이 올라가는 구조입니다. 다만, 수출기업 입장에서 대부분 무역거래는 미 달러화로 입금받기에 1달러당 원화금액이 높아지는 경우라면 입금되는 금액도 결과적으로 커지는 환차익이 발생하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환율이 오른다는 말은 쉽게 말하면 원화 가치가 떨어지는 거라서 해외에서 우리나라 물건 살 때 더 싸게 느껴지게 됩니다. 그러니까 예전엔 1달러로 못 사던 물건도 환율 올라서 사게 되니까 외국 바이어들 입장에선 메리트가 생기는 거죠. 그럼 우리 기업들도 해외에서 물건 더 많이 팔 수 있어서 매출이 올라갑니다. 그래서 수출기업들 입장에선 환율 오르면 좋다고 하는 겁니다.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일반적으로 환율이 상승하면 수출물품의 국제가격이 낮아지므로 가격 경쟁력이 생겨 수출 기업은 유리해집니다.
다만, 수출 기업도 수출물품 제조 시 원자재 등을 수입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수입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하여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환율이 오르면 같은 제품을 수출해도 원화로 환산되는 금액이 더 커지기 때문에 수출기업 입장에선 같은 물건을 팔고도 더 많은 매출을 올릴 수 있게 됩니다. 예를 들어 100달러짜리 상품을 수출했을 때 환율이 1,200원이면 12만원을 받지만, 1,400원이 되면 14만원이 되니까 수익이 늘어나는 구조입니다. 원재료나 부품을 국내에서 조달하는 기업일수록 환율 상승의 수혜를 더 크게 보는 경우가 많아 환율이 오를 때 수출기업들이 전반적으로 유리해진다고 판단하는 겁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환율이 오르면 간단하게 기업이 원화로 벌어드리는 돈이 증가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수출기업들은 대부분 결제를 USD 즉 미국 달러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결제를 통하여 USD를 벌어드린 상태에서 환율이 상승하게 되면 수출기업들은 이를 원화로 환전하게 되고 환차익을 얻게 됩니다.
따라서, 수출기업에는 이러한 환율상승이 유리합니다만 수입기업의 입장에서는 계속 지급할 금액이 증가하기에 불리하다고 볼 수 있으며 그렇기에 환율은 적정선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