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세금·세무

상속세

친절한말똥구리6
친절한말똥구리6

상속포기와 한정승인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상속포기와 한정승인은 상속인이 채무를 부담하지 않기 위한 방법인데, 두 제도의 차이점과 각각의 절차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십니까? 이용연세무회계사무소의 이용연 대표세무사 입니다.

    피상속인의 사망 등의 원인에 따라 피상속인의 재산, 채무 등이 피상속인의

    상속인인 배우자, 자녀 등에게 상속이 되는 경우 단순상속, 한정승인, 상속

    포기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1) 한정승인 : 피상속인의 상속재산보다 상속채무가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되는

    경우 가정법원에 한정승인 심판청구서를 법원에 제출하여 선고를 받는 경우

    인정이 됩니다.

    이 경우 상속재산을 한도로 상속채무를 변제해야 합니다.

    2) 상속포기 : 피상속인의 상속재산보다 상속재무가 더 많은 경우 가정법원에

    상속포기 심판청구서를 법원에 제출하여 선고를 받는 경우 인정이 됩니다.

    상속인은 재산 상속을 받지 않음에 따라 상속채무에 대한 변제의무가 면제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된 경우 "좋아요"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금·세무분야 상담 지식답변자 조원일 세무사 입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리겠습니다.

    .

    상속포기를 하는 경우 처음부터 상속인이 아닌 것으로 취급되어 피상속인의 채무를 전혀 승계하지 않게 됩니다.

    반면에 한정승인을 하는 경우 여전히 상속인이기 때문에 피상속인의 채무를 승계하되, 상속받은 재산의 한도 내에서만 책임을 지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좋아요 버튼(👍)" 부탁드립니다.

    추가 문의사항은 댓글 남겨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세무회계 문> 문용현 세무사입니다.

    상속포기는 피상속인의 재산과 브채를 모두 포기하는 것을 말하며 한정승인은 피상속인의 부채를 한도로만 재산응 상속받는 것을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