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A계좌는 3년이 넘어가면서부터는 비과세 혜택이 없어지는 건가요?
ISA계좌는 3년 의무가입이잖아요?
그런데 3년이 넘어가는 시점부터는 배당소득세 등 비과세 혜택이 사라지는 건가요?
그리고 ISA 통장에는 1억을 초과해서는 납입을 할 수가 없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ISA 계좌의 의무가입기간인 3년이 지나게 되면 언제든지 중도해지하더라도 비과세 혜택 및 분리과세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ISA 계좌는 의무가입기간이 끝나면 다시 연장하실 수 있기는 하나, 비과세 혜택을 모두 받으셨다면 계좌 만기 이후에 해지하고 재가입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그에 반해, 만기 시점에 금융소득종합과세자에 해당한다면 연장 이후에 분리과세 혜택을 누리는 것이 좋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말씀하신 내용들이 전부 다 맞습니다. 잘 알고 계시는거 같습니다.
ISA계좌는 최소 3년 유지해야 하며 3년이 지나면 비과세 혜택이 사라집니다.
또한 1억 원 초과하면 추가로 납입할 수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기준으로 ISA와 같은 경우에는
원금 1억을 넘길 수는 없습니다.
만기 해지시에 200만원까지 비과세
그 이후의 수익은 9.9%로 분리과세로 종결되니 참고하세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니요. 3년은 의무가입기간일 뿐이고, 비과세 한도가 남아 있다면
연장을 해서 계속 비과세 혜택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ISA계좌는 입금에 대해서는 1억까지만 가능하며, 배당금 등으로 1억을 초과할 경우 운용은 가능합니다.
1명 평가ISA 계좌는 3년 의무 가입 기간이 끝난 후에도 비과세 혜택이 계속 유지됩니다.
계좌에서 발생하는 이자와 배당 소득에 대해 200만 원(서민·농어민은 400만 원)까지 비과세가 적용되며 이를 초과한 금액은 9.9%의 저율 분리과세가 적용됩니다.
즉, 3년 이후에도 비과세 혜택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습니다.
납입 한도는 연간 2,000만 원으로, 5년간 최대 1억 원까지 납입할 수 있으며 1억 원을 초과하는 추가 납입은 불가능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3년은 비과세를 받기 위한 기준 조건이며, 그 이후도 마찬가지로 한도 내 혜택 유지됩니다.
연간 2,000만원, 총 1억이 납입한도가 맞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반형은 200만원 서민형은 400만원 비과세한도로 적용되고 있습니다. 만약 3년이 넘어가서 이 비과세 한도를 다 채워지게 되시면 기존 ISA계좌를 해지하고 다시 가입하시면 새로 적용이 됩니다.
그리고 기존 ISA통장은 현재에는 매년 2000만원 총 1억한도까지만 입금이 가능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ISA 계좌는 기본적으로 3년 동안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며 그 이후에도 비과세 혜택은 유지됩니다.
하지만 3년이 지난 후부터는 추가로 납입할 수 없으며, 대신 계좌를 연장하거나 만기 시 다른 계좌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ISA 통장에 납입할 수 있는 한도는 연간 2천만 원, 최대 1억 원까지 납입할 수 있습니다. 즉, 1억 원을 초과해서는 더 이상 납입할 수 없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닙니다. ISA계좌는 3년 만기이지만, 해지후 재가입 또는 연장을 통해 비과세효과를 계속 얻을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3년이 넘어서도 해지를 하지 않는다면 여전히 비과세 혜택은 존재합니다
ISA에는 최대 1억까지 납입이 가능하지만 매년 2천만원씩 증액되는 방식이기에 5년까지
1억이 최대 이고 3년만 납입 했다면 6천만원까지 입금이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